간월암 목조보살좌상은 양식적으로 볼 때 1600년 전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규모가 작은 삼존불상의 협시보살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갸름한 타원형의 얼굴에 높이 솟은 보계, 부드러운 옷주름 등에서 형식화하기 시작하는 임진왜란 이후의 보살상과 차별성이 있다. 간월암 목조보살좌상은 양식적으로 볼 때 1600년 전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규모가 작은 삼존불상의 협시보살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갸름한 타원형의 얼굴에 높이 솟은 보계, 부드러운 옷주름 등에서 형식화하기 시작하는 임진왜란 이후의 보살상과 차별성이 있다. 보살상은 신체에 비하여 두부가 다소 큰 편이며, 신체는 안정감이 있고 균형이 잘 잡혀 있는 편이다.(출처 : 문화재청)
왼쪽에 계신분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184호인 서산간월암목조보살좌상이다.
'*충청-대전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안 직산향교(충청남도 기념물109호) (0) | 2012.08.19 |
---|---|
천안 직산현관아<내동헌.외동헌.내삼문.외삼문>(충청남도 유형문화재42호) (0) | 2012.08.19 |
논산 팔괘정(충청남도 유형문화재76호) (0) | 2012.05.02 |
논산 임리정(충청남도 유형문화재67호) (0) | 2012.05.02 |
청원 안심사세존사리탑(충청북도 유형문화재27호) (0) | 2012.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