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화성 홍승인고가(경기도 문화재자료74호)

천지연미소바위 2012. 9. 20. 21:24

  경기도 지방 부농의 전통적인 주거 생활을 보여주는 가옥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모두 ㄱ자형이며, 전체로는 ㅁ자 평면을 이루고 있다. 안마당과 면하는 기단 부분을 계단처럼 3중으로 구성한 점이 특이하며, 사랑채 앞쪽으로 一자형의 행랑채가 있다. 9칸으로 구성된 행랑채 왼쪽에서 4번째 칸에 솟을대문을 두었다. 대문을 들어서면 오른쪽에 담장을 쌓아 행랑마당과 사랑마당을 나누고 가운데에 중문을 두었다. 사랑채에서 서쪽으로 꺾인 날개채에는 안마당으로 출입하는 별도의 문을 두었다. 안채는 가운데 2칸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동쪽에 안방, 맞은 편에 건넌방을 두고 안방 앞쪽에 부엌을 두었다. 부엌 뒤쪽은 우물과 장독대 따위가 있는 뒤꼍으로 안방 부분에 쪽마루를 붙여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사랑채는 앞면 7칸에 툇마루를 두었는데 구성이 특이하다.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1칸 방을 들이고 창호를 툇마루 바깥쪽에 달아 방 앞쪽에서는 툇마루가 복도처럼 되었다. 띠살창의 정교한 가공이 돋보이는 집이다. 지은 시기를 밝혀주는 자료는 없지만 사랑채에 사용된 부재나 가구의 수법 들로 미루어 19세기 말에 지은 것으로 보이며, 안채는 그보다 앞서 지은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지방 부농 규모의 전통적인 주거 생활을 보여 주는 가옥이다. 건축 연대를 밝혀 주는 자료는 없으나 사랑채는 부재의 치목이나 가구 수법으로 보아 19세기 말경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며 안채는 그보다 앞선 것으로 보인다. 안채와 사랑채가 모두 ㄱ자형인데 안마당을 중심으로 꺾여 튼 ㅁ자형을 이루며, 사랑채 앞쪽으로 一자형의 행랑채가 있다. 9칸으로 구성된 행랑채의 좌측에서 네 번째 칸에 솟을대문칸을 두었다. 이 문을 들어서면 대문칸 오른쪽에 연이어 담장을 쌓아 행랑마당과 사랑마당을 뚜렷하게 구획하고 가운데에 단칸의 중문을 두었다. 사랑채에서 서쪽으로 꺾인 날개채에는 안마당으로 출입하는 별도의 문을 두었다. 안채는 가운데 2칸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동쪽으로 안방, 맞은편에 건넌방을 두고, 안방 앞쪽에 부엌을 두었다. 부엌 뒤쪽은 우물과 장독대 등이 있는 뒤꼍인데 안방부분에 쪽마루를 붙여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기단은 안마당과 면하는 부분을 계단처럼 3중으로 구성하여 특이하다. 사랑채는 전면 7칸에 전퇴를 둔 일고주오량가(一高柱五樑架)로 간살 구성이 매우 독특하다. 즉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1칸 통의 방을 들였는데, 창호를 전퇴칸 바깥쪽에 달아 방 앞쪽에서는 툇마루가 복도처럼 되었다. 사랑채는 띠살창의 정교한 가공이 돋보인다.(출처 : 문화재청)

 

 

 

문학1리 마을회관 방향으로 가면 홍승인고가가 있다.

 

 

309번 도로에서 바라본 홍승인고가.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31,00740000,31&queryText=((V_KDCD=31)) <and>(((V_NO >=74)<and>(V_NO <= 74)))&maxDocs=15000&docStart=1&docPage=10&canasse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