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을 매다는 부분인 용뉴는 2마리의 용이 조각되어 있는데,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마모되기는 하였지만 아직도 웅장한 분위기를 지니고 있다. 종의 몸 윗부분에는 크고 작은 명문이 새겨 있으나, 마모가 심하여 글자를 확인하기 어렵다. 종의 입 부분은 8개의 반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입구와 몸체 사이에 용을 조각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단순하면서도 화려하고, 웅장하면서도 안정된 느낌을 주고 있다. 이 종은 몸체의 명문이 마모되어 정확한 제작연대를 알 수 없지만 형태와 의장 등을 고려해 볼 때, 중국 당나라 양식이 반영된 중국 송나라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출처 : 문화재청)
왼쪽부터 원대철제범종, 명대철제범종, 송대철제범종이다.
'*경기-인천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수 능허대지(인천광역시 기념물8호) (0) | 2012.10.17 |
---|---|
연수 학익고인돌(인천광역시 기념물34호) (0) | 2012.10.17 |
연수 원대철제범종(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3호) (0) | 2012.10.17 |
연수 관음좌상(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5호) (0) | 2012.10.09 |
연수 목조여래좌상(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13호) (0) | 2012.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