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초의 신부인 김대건(1822-1846) 신부가 태어난 곳으로, 국내 제1의 카톨릭 성지이기도 하다. 김대건은 최초의 천주교 신부일 뿐아니라, 천주교 103위 성인 중 한 사람이다. 충남 당진 출신으로 증조부가 10년간의 옥고 끝에 순교하자, 할아버지를 따라 경기도 용인으로 이사하여 그곳에서 성장하였다. 순조 31년(1831) 신부 모방이 신학생으로 추천하여 파리외방전교회 동양경리부로 가게 되었고 신부 리부아의 배려로 중등과정의 교육과 신학과정을 마친 뒤, 헌종 10년(1844) 부제가 되었다. 1845년 귀국하여 서울에 자리 잡은 뒤에는, 박해의 타격을 받은 천주교회를 재수습하여 다시 상해로 가서 주교 페레올의 집전하에 신품성사를 받고 우리나라 최초의 신부가 되었다. 1984년 한국 천주교 2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내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부터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김대건 신부가 전세계 카톨릭 교회의 공경의 대상이 됨에 따라, 그의 생가터인 이곳은 역사·종교적으로 중요한 문화유적지가 되었다.(출처 : 문화재청)
김대건신부 생가지는 사적 529호로 승격 되었는데 솔뫼성지를 찾아가면 된다.
솔뫼성지는 우회전하라는 안내판이 파란 도로안내판 밑에 있다.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1460000,34&queryText=((V_KDCD=23)) <and>(((V_NO >=146)<and>(V_NO <= 146)))&maxDocs=15000&docStart=1&docPage=10&canasset=N
ㅇ 우리나라 천주교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한국 최초의 사제인 김대건신부(1821~1846년)를 비롯하여 김대건신부의 증조할아버지(김진후), 작은할아버지(김종한), 아버지(김제준) 등 4대에 걸친 순교자가 살았던 곳으로 전해짐
ㅇ 1836년에 작성된 김대건신부의 신학교 입학 서약서에는 김대건신부의 출생지가 ‘충청도 면천 솔뫼’로 기록되어 있는데, ‘솔뫼’는 ‘소나무 숲이 우거진 산(松山)‘이라는 뜻에서 유래하며 현재의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송산리에 위치하고 있음
ㅇ 이 유적에는 2004년 복원된 김대건신부 생가와 김대건신부 순교 100주년을 맞이하여 1946년 세워진 순교복자비, 김대건신부 동상, 울창한 소나무 숲 등이 자리하고 있으며, 주변에는 김대건신부 기념관, 야외 성당 등이 조성되어 있어 김대건신부의 발자취와 생애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음
ㅇ 아울러 중세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기에 발생한 천주교 전래와 사상과 신앙의 자유에 대한 박해과정 등을 집약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종교사적으로뿐만 아니라 정치․사상적 변천을 반영하는 중요 유적으로 평가됨(출처 : 문화재청)
'*충청-대전 > 명승, 사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 송산리고분군(사적13호) 1 (0) | 2012.11.06 |
---|---|
공주 정지산유적(사적474호) (0) | 2012.10.22 |
서산 해미읍성(사적116호) 2 (0) | 2012.10.07 |
서산 해미읍성(사적116호) 1 (0) | 2012.10.07 |
서산 부장리고분군(사적475호) (0) | 2012.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