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사는 운달조사가 신라 진평왕 10년(588)에 세웠다고 전하나, 사적기에 따르면 세운 시기에 대한 기록이 없다. 조선 인조 21년(1643)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인조 27년(1649) 새로 복원하여 현재까지 이어진다. 대웅전은 17세기에 지은 것으로 보이는데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대웅전 건축 양식상 특이한 것은 건물의 기단 위를 평평하게 다듬지 않고 기둥을 세워 높이가 일정하지 않다. 그러나 기둥 모두 대웅전의 중심쪽으로 약간씩 기울어져 건물 전체가 안정감을 주는 기법을 사용하였다.(출처 : 문화재청)
본인이 2012년 5월에 갔을시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235호였는데, 2012. 10. 22일자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453호가 되었네요. 안내판도 정정해야겠네요.
대웅전 안에 있는 불상과 탱화.
'*경상-부산-대구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경 김용사명부전 목조지장삼존상 및 제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385호) (0) | 2012.12.16 |
---|---|
문경 김용사괘불(경상북도 유형문화재303호) (0) | 2012.12.16 |
문경 근암서원소장유물(경상북도 유형문화재377호) (0) | 2012.12.16 |
문경 봉정리약사여래좌상 및 관세음보살입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308호) (0) | 2012.12.16 |
문경 박열의사생가지(경상북도 기념물148호) (0) | 2012.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