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문경 김용사괘불(경상북도 유형문화재303호)

천지연미소바위 2012. 12. 16. 17:20

  괘불은 옥외에서 법회를 행할 때에 밖에 내다 걸 수 있게 만든 걸개그림으로, 임진왜란 이후 많은 사찰이 복원되면서 괘불 제작이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김용사 대웅전에 보존되어 있는 이 괘불은 중앙의 본존불을 화폭의 1/3을 차지할 정도로 크게 표현하였고, 그 아래쪽에 2구의 보살과 사천왕을 배치하였다. 사천왕 뒤쪽으로는 다시 6구의 보살을 일렬로 배치하고 본존불의 머리 좌우로 5구씩의 십대제자를 그려 넣었으며, 보살상의 외곽에 인왕과 팔부중 등을 배치하였다. 외곽의 괘선 밖에는 범(梵:불교문자)자를 원 속에 써서 배열하고 있다. 화폭의 아래에는 그림의 제작동기와 그 시기를 적은 29줄의 기록이 남아 있다. 이에 의하면 이 괘불은 숙종 29년(1703)에 상주 북면에 위치한 운달산 운봉사의 괘불로 처음 만들어졌다 한다. 이곳 김용사로 옮긴 과정은 알 수 없으며 다만 운달산과 김용사가 상주의 관할 아래 있었다는 사실만이『성주읍지』에 나타나 있다. 거대하면서도, 비교적 섬세하고 다양한 선을 사용하여 돋보이고 있는 작품이다. 이 괘불(掛佛)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235호로 지정된 김용사(金龍寺) 대웅전(大雄殿)에 보관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본존불(本尊佛)을 화면의 1/3을 차지할 정도로 크게 표현하였고, 그 아래쪽에 2구의 협시보살(脇侍菩薩)과 사천왕(四天王)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사천왕(四天王) 뒤쪽으로 다시 6구의 협시보살(脇侍菩薩)을 일렬(一列)로 배치하였다. 또 본존불(本尊佛)의 두부(頭部) 좌우(左右)에 5구씩 도합 10구의 십대제자(十大弟子)와 그 뒤쪽에 타방불(他方佛)로 추측되는 4구의 여래상(如來像)을 배치하였으며, 보살상(菩薩像)의 외곽(外廓)에 인왕(仁王)과 팔부중(八部衆)을 일렬(一列)로 배치하였다. 그 외 외곽(外廓)의 괘선(罫線) 밖에는 범어(梵語)를 원(圓)속에 써서 배열하고 있다. 이처럼 이 괘불은 거대하면서도 비교적 섬세하고 다양한 선을 구사하여 그림을 돋보이게 하였다. 이 괘불의 중앙부 하단에 29행의 제명기(題名記)(화기(畵記))가 있는데, 이의 내용은 제작시기(製作時期), 원문(願文) 그리고 시주질(施主秩) 승속(僧俗) 50여명의 명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작자(作者)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의하면 이 작품은 1703년(숙종 29년) 5월 14일 상주부(尙州府) 북면(北面)에 위치한 운달산(雲達山) 운봉사(雲峯寺)의 괘불(掛佛)로 만들어진 것이다. 운봉사(雲峯寺)와 김용사(金龍寺)의 관계(關係)는 분명치 않으나 「상주읍지(尙州邑誌)」에 의하면 운달산(雲達山)과 김용사(金龍寺)는 상주(尙州)의 관할하(管轄下)에 있었다. 이로 볼 때 제명기(題名記)의 내용은 실제와 부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지만 이들이 언제 문경현(聞慶縣)의 관할로 이관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출처 : 문화재청)

 

 

 김용사 대웅전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235호에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453호로 2012. 10. 22일자로 변경 지정되었습니다.

 

 

 

아래 사진은 문화재청에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303호로 내려 받았는데 보물1640호인 듯합니다. 문화재청 에 있는 설명 내용으로 보아 현재 대웅전 불상뒤에 있는 불화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303호인듯합니다. 보물1640호는 김사 영산회괘불도인데 유형문화재303호에는 김사괘불이네요. 같은 사찰인데 왜 다르게 표기했을까요?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답변 : 안녕하십니까.
귀하께서 질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곧 조사하여 상세히 유선상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담당자가 연일 출장이어서 신속히 답변 못드린 점 양해 구합니다.
그럼 곧 다시 뵙겠습니다.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3030000,37&queryText=((V_KDCD=21)) <and>(((V_NO >=303)<and>(V_NO <= 303)))&maxDocs=15000&docStart=1&docPage=10&canasse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