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과, 땅속에 무덤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 제주시 도련동에 있는 이 고인돌은 바둑판식으로 덮개돌 크기는 길이 2.45m, 너비 1.75m로 거북등 모양으로 인위적으로 다듬은 흔적이 보인다. 받침돌의 높이는 0.15㎝ 정도로 3개가 덮개돌을 받치고 있는데, 한쪽은 높이 22㎝로 들려 있어 제주도 고인돌 유형 중 아치형 고인돌로 여겨진다. 덮개돌의 거북등 모양은 일본 북구주(北九州)에 분포하는 고인돌의 특징으로 제주시 외도동에도 분포되어 있다.(출처 : 문화재청)
주변에는 제주 삼화지구 선사유적지가 있다.
'*제주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삼사석(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4호) (0) | 2013.05.23 |
---|---|
제주 도련지석묘2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9호) (0) | 2013.05.22 |
제주 도련귤나무(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0호) (0) | 2013.05.22 |
제주 조천연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3-5호) (0) | 2013.05.21 |
제주 연북정(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3호) (0) | 2013.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