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학면소재지에서372번 도로를 타고 미산면쪽으로 가다보면 백학지 지나 왼쪽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보인다.
길이 좀 복잡하다. 오른쪽길로 간다.
우측에 있는 길이다.
멀리 누각이 보여 다왔구나 했다.
정발장군 충신 정려각이다. 정발장군묘는 한참 가야한다.
우측으로 올라간다.
코너에 안내판이 있다.
언덕을 넘으니 사당이 보인다.
정발장군 묘역인줄 알고 올라간 곳.
느낌이 아니다.
다시 내려와 주민에게 안내를 받다. 정발장군묘역 안내도.
전봇대를 끼고 좌회전하란다.
적당히 주차하고 걸어서 간다.
애마 무덤.
열첩애향정녀사적비
충노용월사적비
조선 중기의 무신 백운(白雲) 정발(1553∼1592) 장군의 묘이다. 선조 12년(1579)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고 그 후 계속 벼슬에 올라 군비를 정비하고 병사를 훈련시키는데 힘썼다. 선조 25년(1592)에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부산에 침입한 왜군을 맞아 용감히 싸웠으나 성이 함락되고 장군도 전사하였다. 장군의 시신은 찾지 못하였으나 그가 타고 다니던 말이 투구와 갑옷을 물고와서 그것으로 장례를 치렀다고 하며, 죽은 후에 좌찬성의 벼슬에 올랐다. 봉분은 하나이며 부인 풍천 임씨와의 합장묘이다. 봉분 앞에는 돌로 만든 장명등(長明燈)이 있고, 좌우에는 멀리서도 무덤이 있음을 알려주는 망주석(望柱石)과 무인석이 1쌍씩 배치되어 있다. 송시열이 글을 지은 묘비가 있었으나 한국전쟁 때 없어졌고 1982년에 새로 만든 묘비가 봉분 우측에 세워져 있다.(출처 : 문화재청)
'*경기-인천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인 음애이자묘역(경기도 기념물172호) (0) | 2013.07.04 |
---|---|
용인 화운사 목조여래(아미타,약사)좌상(경기도 유형문화재200호) (0) | 2013.07.04 |
연천 박진장군묘(경기도 기념물110호) (0) | 2013.07.02 |
용인 할미산성(경기도 기념물215호) (0) | 2013.07.02 |
연천 차탄리고인돌(경기도 기념물208호) (0) | 2013.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