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백졸재(百拙齋) 한응인(1554∼1614) 선생의 묘소이다. 선조 9년(1576)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1589년 정여립 모반사건을 적발하여 그 공으로 호조참의가 되었고 다음해 평난공신 1등에 봉해졌다. 임진왜란 때 왕을 따라 평양에 도착하여 임진강 방어에 힘썼으나 왜장 가토의 유인작전에 속아 크게 패했다. 그 후 요동에 건너가 명나라에 구원군을 급히 파병해 줄 것을 요구했고, 명나라 이여송 장군이 올 때는 그를 맞이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 후에도 여러 차례 사신으로 명나라에 오가면서 두루 관직을 지내고 선조 40년(1607)에는 우의정에 올랐다. 묘는 부인 전주 이씨와의 합장묘이고 봉분 아랫부분에는 2단으로 둘레석을 둘렀다. 봉분 앞에는 묘비·상석·향로석이 있고 좌우에는 망주석(望柱石:멀리서도 묘가 있음을 알 수 있게 돌기둥)과 문인석이 1쌍씩 있다. 묘역 오른쪽에는 신도비(神道碑: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 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가에 세우던 비)가 세워져 있는데, 김류가 비문을 짓고 한인급이 글씨를 써서 인조 20년(1642)에 세운 것이다.(출처 : 문화재청)
한응인 묘역에 가기전에 안산 한응인영정 및 재실(경기도 유형문화재 153호)이 있고 묘역을 지나면 신도비가 있음.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1570000,31&queryText=((V_KDCD=23)) <and>(((V_NO >=157)<and>(V_NO <= 157)))
'*경기-인천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산 이익선생묘(경기도 기념물 40호) (0) | 2011.05.31 |
---|---|
안산 한응인 신도비(경기도 기념물 157호) (0) | 2011.05.31 |
수원 지지대비(경기도 유형문화재 24호) (0) | 2011.05.23 |
수원 노송지대(경기도 기념물19호) 2 (0) | 2011.05.23 |
수원 노송지대(경기도 기념물19호) 1 (0) | 2011.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