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에 신창척화비가 '신창면 읍내리 297번지'에 있다고 되어 있는데 대략 신창초등학교 입구 좌측인 '신창면 읍내리 253-6번지' 쯤 된다.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답변내용) [주관부서] : 교육복지국 문화관광과 [답변일자] : 2014-06-23 12:24:39
[작성자] : 최XX [전화번호] : 540-28XX
[답변내용] : 1. 평소 문화재에 많은 관심과 애정을 가져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2. 귀하께서 지적하신 사항에 대하여 확인 후 조속한 시일내 수정될 수 있도록 처리토록 하겠습니다.
붙임 : 2014년6월23일-a0-민원상담목록번호24245. 끝.
정정할 문화재(민원문화재)
종목 |
명칭 |
문화재청 소재지 |
예정 주소? |
비고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36호 |
신창척화비 |
신창면 읍내리 297번지 |
읍내리 253-2 |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37호 |
김육비 |
신창면 읍내리 297번지 |
읍내리 310-1 |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35호 |
인취사석탑 |
신창면 읍내리 200번지 |
읍내리 84 |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30호 |
이충무공사적비 |
온양2동 229번지 |
온천동 69-10 |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8호 |
영괴대 |
온천동229 |
온천동242-10 |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9호 |
신정비 |
온천동229 |
온천동242-10 |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7호 |
온천리석불 |
온천동229 |
온천동242-10 |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14호 |
온양어의정 |
용화동283-3 |
온천동 578 |
|
척화비란 쇄국정책을 실시하던 흥선대원군이 병인양요, 신미양요를 치르면서 더욱 의지를 굳혀 서양사람들을 배척하고 그들의 침략을 국민에게 경고하기 위해 서울 및 전국 중요 도로변에 세우도록 한 비이다. 신창 초등학교 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이 비는 높직한 사각받침 위로 비몸을 세운 모습이다. 비문에는 “서양오랑캐가 침범함에 싸우지 않으면 화의인데, 화의를 주장함은 나라를 파는 것이다.”라는 강한 경고 문구가 쓰여 있다. 척화비는 고종 8년(1871) 신미양요를 치른 후 같은 해에 일제히 세운 것으로, 고종 19년(1882) 임오군란이 일어나고 대원군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납치되면서 대부분의 비들이 일제에 의해 철거되거나 훼손되었다. 이 비는 현재 남아있는 몇 안되는 비들 가운데 하나로, 당시의 강력한 쇄국의지를 그대로 전하고 있다.(출처 : 문화재청)
'*충청-대전 > 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산 신창학성(충청남도 문화재자료244호) (0) | 2014.06.24 |
---|---|
아산 김육비(충청남도 문화재자료237호) (0) | 2014.06.20 |
아산 신정비(충청남도 문화재자료229호) (0) | 2014.06.20 |
아산 영괴대(충청남도 문화재자료228호) (0) | 2014.06.20 |
아산 온천리석불(충청남도 문화재자료227호) (0) | 2014.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