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향교에 찾아가는 요령은 쉽다. 신창초등학교 교정 안으로 들어가면 된다. 교정 안에 있다.
직진하면 신창초등학교 정문이 나온다. 바로 직전 신창초등학교 입구 왼쪽 코너에 신창척화비(충청남도 문화재자료236호, http://blog.daum.net/dbsqkqh/4700)가 있고, 좀더 직진하면 오른쪽에 김육비(충청남도 문화재자료237호, http://blog.daum.net/dbsqkqh/4701)가 있다.
오른쪽이 신창초등학교 조회대이고 신창향교가 보인다.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신창향교는 조선 숙종(재위1674∼1720) 때 지었다고 하지만 기록은 없고, 고종 9년(1872) 처음 지은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동재·서재, 내삼문 등이다. 대성전은 제사지내는 공간으로 앞면 5칸·옆면 3칸 규모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날개 모양인 익공 양식으로 꾸몄다. 안에는 공자를 중심으로 그의 제자들과 중국·우리나라 성현들을 모시고 있다. 명륜당은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으로,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출처 : 문화재청)
'*충청-대전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산 배방산성(충청남도 기념물67호) (0) | 2014.07.01 |
---|---|
아산 용화사 석조여래입상(충청남도 유형문화재220호) (0) | 2014.06.26 |
아산 온주아문및동헌(충청남도 유형문화재16호) (0) | 2014.06.20 |
부여 사택지적비(충청남도 유형문화재101호) (0) | 2014.06.01 |
부여 동남리전천왕사지(충청남도 기념물53호) (0) | 2014.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