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삼막사 칠성각 서북편에 있는 2개의 자연 암석인데 그 모양이 남자와 여자의 성기 모양과 닮았다고 하여 남·녀근석이라 부른다. 옛부터 다산(多産)과 풍요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이 바위를 숭배했다고 하는데, 성기 신앙(性器信仰)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성기 숭배 사상은 수렵 채집의 풍족과 풍농·풍어·다산과 무병 장수를 목적으로 하여 선사시대부터 행해져 왔으며, 고려·조선시대는 물론 현재까지도 무속·풍수 신앙·동제·미륵 신앙 속에 어우러져 이어지고 있다. 성기 신앙은 성기 모양을 닮은 바위나 기암 괴석 등의 자연물을 대상으로 삼기도 하지만 나무나 돌 등으로 성기의 모양을 그대로 만들거나, 은유해서 만든 석장승·돌하루방 등을 기원의 대상물로 삼기도 한다. 모두 복을 기원하고 다산과 풍작, 풍어를 비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 삼막사의 남·녀근석은 신라 문무왕(文武王) 17년(677)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삼막사를 창건하기 이전부터 토속 신앙의 대상으로 숭배했다고 하며, 이 바위를 없애지 않고 그 옆으로 칠성각을 둔 것은, 불교와 민간 신앙이 어우러진 우리 나라 민간 신앙의 한 형태를 볼 수 있는 좋은 예가 된다. 지금도 민간에서는 이 바위를 만짐으로써 다산과 출산에 효험이 있다고 믿어 4월 초파일, 7월 칠석이면 많은 사람들이 몰려와 기원을 한다. 그 기원의 방법으로 동전을 바위에 문질러 붙이는 의식을 행하기도 한다. 크기는 남근석이 높이 1.5m, 여근석이 높이 1.1m 정도다.(출처 : 문화재청)
안양 삼막사에 있는 남근석. 길이는 작은 듯하지만 막강한 대근 같은 느낌이. 삼막사에는 남여근석이 2m거리를 두고 있음. 찾아가는 방법과 여근석에 대한 것 참조 : http://blog.daum.net/dbsqkqh/464
남근석에는 누가 동전을 붙여 놓았는지 우리 부부도 동전을 한개 붙여 놓았지요. 귀두 오른쪽은 누가 손댄것 같기도 하고. 하여튼 남여근석이 가가운 곳에 있으니 음양정기는 강하겠네요.
삼막사에는 다음과 같은 문화재가 있다.
삼막사 마애삼존불상(경기도 유형문화재94호, http://blog.daum.net/dbsqkqh/1429)
삼막사 삼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112호, http://blog.daum.net/dbsqkqh/1430)
삼막사사적비(경기도 유형문화재125호, http://blog.daum.net/dbsqkqh/1381)
삼막사 명부전(경기도 문화재자료60호, http://blog.daum.net/dbsqkqh/1431)
삼막사 여근석(경기도 민속문화재3호, http://blog.daum.net/dbsqkqh/464)
삼막사 남근석(경기도 민속문화재3호, http://blog.daum.net/dbsqkqh/51)
문화재청에는 경기도 민속문화재 3호로 되어 있는데....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4,00030000,31&queryText=((V_KDCD=24)) <and>(((V_NO >=3)<and>(V_NO <= 3)))
'*경기-인천 > 중요-시도 민속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천 어재연장군생가(중요민속문화재127호) (0) | 2012.10.05 |
---|---|
이천 김좌근고택(경기도 민속문화재12호) (0) | 2011.11.15 |
화성 정원채고가(경기도 민속문화재6호) (0) | 2011.08.23 |
안양 삼막사 여근석(경기도 민속문화재3호) (0) | 2011.05.31 |
수원 광주이씨월곡댁(중요민속문화재123호) (0) | 2011.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