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볼때마다 느끼지만(http://blog.daum.net/dbsqkqh/17) 조각 솜씨가 훌륭합니다. 인터넷에는 위치가 조금 다른 곳으로 되어 있어요.
고달사지 느티나무 지나 오른쪽으로 올라 간다.
보물7호인 원종대사탑(http://blog.daum.net/dbsqkqh/5164)이 나온다.
돌계단으로 올라 가면 있다.
직진하면 승탑이 나오고 오른쪽 능선으로 올라 가면 여주 상교리 고려석실묘(경기도 기념물 198호, http://blog.daum.net/dbsqkqh/5152)
고달사터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다. 고달사는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23년(764)에 창건된 절로, 고려 광종 이후에는 왕들의 보호를 받아 큰 사찰로서의 면모를 유지하기도 하였으나, 언제 문을 닫게 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 승탑은 바닥의 형태가 8각을 이루고 있으며, 꼭대기의 머리장식이 완전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잘 남아 있다. 전체의 무게를 지탱하고 있는 기단(基壇)은 상·중·하 세 부분으로 갖추어져 있는데, 특히 가운데돌에 새겨진 조각들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가운데돌은 8각이라기보다는 거의 원을 이루고 있으며, 표면에 새겨진 두 마리의 거북은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사실감이 느껴진다. 각 거북을 사이에 두고 네 마리의 용을 새겨 두었으며, 나머지 공간에는 구름무늬로 가득 채웠다. 돌에 꽉차게 새겨진 무늬들이 과장되지 않고 세련되어 능숙하면서도 대담한 힘이 느껴진다. 가운데돌을 중심으로 그 아래와 윗돌에는 연꽃무늬를 두어 우아함을 살리고 있다. 사리를 모셔둔 탑몸돌에는 문짝 모양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이 새겨져 있는데, 문에 새겨진 자물쇠 모양의 조각은 밋밋하여 형식적으로 흐른 감이 있다. 이를 덮고 있는 지붕돌은 꽤 두꺼운 편으로, 각 모서리를 따라 아래로 미끄러지면 그 끝마다 큼직한 꽃조각이 달려 있는데, 크기에 비해 조각이 얕아서 장식효과는 떨어진다. 지붕돌꼭대기에는 둥그런 돌 위로 지붕을 축소한 듯한 보개(寶蓋)가 얹혀져 있다. 전체적으로 신라의 기본형을 잘 따르면서도 각 부분의 조각들에서 고려 특유의 기법을 풍기고 있어 고려시대 전기인 10세기 즈음에 세워졌을 것으로 보인다. 돌을 다듬은 솜씨도 깨끗하고 조각에서도 세련미가 묻어나오는 작품이다.(출처 : 문화재청)
'*경기-인천 > 국보,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주 고달사지 석조대좌(보물8호) (0) | 2015.01.02 |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보물6호) (0) | 2015.01.02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원종대사 혜진탑, 보물7호) (0) | 2015.01.01 |
여주 효종 영릉재실(보물1532호) (0) | 2014.12.27 |
여주 하리 삼층석탑(보물92호) (0) | 2014.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