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산사 원통보전에 모셔져 있는 건칠불상으로, 근처의 영혈사에서 모셔왔다고도 전해진다. 금속으로 만든 8각 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채 앉아 있는데, 적당한 크기로 허리를 곧추 세우고 고개만을 앞으로 약간 숙여 마치 굽어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머리에는 화려하기 이를 데 없는 높은 보관을 썼으며, 네모꼴에 가까우면서도 각지지 않은 둥글고 탄력적인 얼굴에는 귀·눈·입·코 등이 단정하게 묘사되어 있다. 목에는 세 개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뚜렷하고, 가슴 부분이 두드러지게 표현되었다. 오른손은 가슴에 올리고 왼손은 배에 두었으며 엄지와 중지를 맞댄 손모양을 하고 있는데, 가냘픈 듯 섬세하게 표현되었다. 양 어깨를 덮은 옷은 옷주름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고 있는데, 내의 깃이 가슴 밑을 수평으로 가로지르고 있다. 온몸에는 화려한 구슬장식이 드리워져 있다. 이 관음보살상은 표현수법으로 보아 고려 후반의 전통양식을 바탕으로 한 조선초기의 작품임을 짐작케 해준다. 전체적으로 각 부분의 비례가 좋고 특히 얼굴표정이 빼어날 뿐만 아니라, 머리에 쓰고 있는 보관은 고대 이래의 형식에 원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보관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낙산사 원통보전에 봉안되어 있는 상으로 머리에는 화려하기 이를 데 없는 높은 보관을 썼으며, 금속제 팔각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채 앉아 하품중생인의 아미타인을 짓고 있다. 근처의 영혈사에서 모셔왔다고도 전해지는 이 상은 적당한 크기로 허리를 곧추 세우고 고개만을 앞으로 약간 숙여 마치 굽어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네모꼴에 가까우면서도 각지지 않은 둥글고 탄력적인 얼굴에 단정한 이목구비를 하고, 삼도(三道)가 뚜렷한 목과 두드러진 가슴, 가냘픈 듯 섬세한 손, 자연스럽게 흘러내린 옷주름, 가슴 밑을 수평으로 가로지른 내의 깃과 등 뒤에까지 화려하게 장식된 영락 등은 이 상이 고려 후반의 전통양식을 바탕으로 한 조선초기작임을 짐작케 해준다. 온몸에 걸친 화려한 구슬장식과 착의법(着衣法) 역시 조선초의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보관은 고대 이래의 형식에 원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보관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며 전체적으로 각 부분의 비례가 좋고 특히 상호(相互)가 빼어나다. (불상의 크기 112.0×76.0cm) (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3620000,32&queryText=((V_KDCD=12)) <and>(((V_NO >=1362)<and>(V_NO <= 1362)))
'*강원 > 국보,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보물190)-재현품 (0) | 2011.09.30 |
---|---|
양양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 및 사리장엄구 일괄(보물1723호)1 (0) | 2011.07.27 |
양양 낙산사 칠층석탑(보물499호) (0) | 2011.07.27 |
양양 오색약수 삼층석탑(보물497호) (0) | 2011.07.27 |
양양 선림원지 승탑(양양 선림원지 부도, 보물447호) (0) | 201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