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보물 제1723호「양양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 및 사리장엄구 일괄」, 2011.11.01)됨에 따라 강원도 지정문화재의 지정을 해제함. 이것은 조선(朝鮮) 숙종(肅宗) 18년(1692)에 건조(建造)한 것으로 8각원당형(八角圓堂型)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부도탑(浮屠塔)이다.구조(構造)는 장대석(長臺石)으로 지대석(地臺石)을 짜고, 하대(下臺)는 8각으로 측면(側面)에 안상(眼象)을 마련하고 그 속에 태극문(太極門)을 조각(彫刻)하였으며 그 상부(上部)에는 16판(瓣)의 복련(覆蓮)을 조각하였다. 중대석은 선조문(線條紋)을 조각하였고 상대석에는 앙련(仰蓮)으로 받치고 그 위의 측면에는 안상이 있으며, 안상 내에는 범자(梵字)를 음각(陰刻)하였고, 탑신(塔身)은 구형(球形)이다. 옥개석(屋蓋石)은 8각인데 상륜부(相輪部)는 앙련(仰蓮)과 복발(覆鉢)·보륜(寶輪)·보주(寶珠)를 한돌(一石)로 조각하였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탑자리는 닭이 알을 품은 형국(形局)이라 하며 숙종 9년(1683)에 홍련암(紅蓮庵)에서 도금불사(鍍金佛事)를 거행할 때 서기(瑞氣)가 가득 차더니 공중에서 영롱한 구슬이 떨어졌는데 유리와 같이 광채를 내었다고 한다. 석겸(釋謙) 등이 이에 대원(大願)을 발하여 이 탑을 쌓고 간직했다고 한다.(출처 : 문화재청)
양양 낙산사 공중사리탑은 예술적인 측면으로만 보자면 일급의 석조물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다음의 몇 가지 사실은 충분히 주목할 만하다. 첫째, 건립의 절대연대가 1692년으로 밝혀져 비슷한 시기의 승탑을 비롯한 관련 석조물의 편년에 소중한 준거가 된다는 점에서 소중하다. 둘째, 매우 드물게 현존하는 이른바 승탑형 불사리탑의 새로운 예가 추가되었다는 점도 평가할 만하다. 셋째, 양식적으로나 세부에 있어서나 조선시대 왕릉의 장명등과 유사성이 다분하여 양자 사이의 교류 관계, 나아가 절집 석조물과 그 밖의 석조물의 양식적인 영향 관계를 살필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인정할 수 있다. 양양 낙산사 공중사리비는 그 자체만으로는 조선후기 석비의 일반적인 형태를 크게 벗어나지 않아 독자적인 가치를 인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공중사리탑과 그 안에서 수습된 사리장엄구와 아울러 생각한다면 이 비의 가치는 배가된다. 왜냐하면 이들은 모두 불사리를 모시려는 목적 아래 만들어진 일관 유물일 뿐만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기능과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비문의 내용이 사리장엄구의 일부를 이루는 문서 내용과 일치한다는 사실은 공중사리탑, 공중사리비, 사리장엄구가 이런 관계 속에 존재함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공중사리탑에서 수습된 사리장엄구 일괄은 인위적인 손상 없이 처음 매납된 상태 그대로 수습되어 학술적인 가치가 높다. 그리하여 조선후기에 접어들 무렵까지도 사리병―금합―은합―동합의 순으로 매납용 사리기를 제작하여 그 안에 사리를 안치하는 전통적인 사리 장엄 방식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실례로써 주목에 값한다. 또한 사리장엄구의 일부로 수습된 비단 보자기 11점은 그 양호한 상태, 색채의 선명성, 무늬의 다양성 등을 통해 우리나라 직물사 연구에 커다란 기여를 할 수 있는 소중한 가치를 지닌다. 무엇보다도 이들 세 가지 유물, 즉 공중사리탑과 공중사리비와 사리장엄구 일괄은 관련 유물 가운데 어느 하나 결실되지 않고 고스란히 온존하고 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이렇게 관련 유물이 갖추어진 형태로 전해지는 경우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그러하다. 따라서 이들은 낱낱의 유물이 지니는 가치도 적지 않지만 함께 보존되고 관리될 때 그 의미가 한층 강화될 것이다.(출처 : 문화재청)
낙산사 사리탑이 보물1273호인 낙산사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 및 사리장엄구 일괄로 지정됨에 따라 강원도 유형문화재75호가 지정 해제됨. 보물로 지정되기 전에 촬영한 것이다.
보물1723호인 사리장엄구(http://blog.daum.net/dbsqkqh/3323)는 국립춘천박물관에서 촬영한 것이다.
아래 사진출처 : 문화재청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
사리장엄구 중 보자기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750000,32&queryText=((V_KDCD=21)) <and>(((V_NO >=75)<and>(V_NO <= 75)))
'*강원 > 국보,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보물78호) (0) | 2011.09.30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보물190)-재현품 (0) | 2011.09.30 |
양양 낙산사 건칠관음보살좌상(보물1362호) (0) | 2011.07.27 |
양양 낙산사 칠층석탑(보물499호) (0) | 2011.07.27 |
양양 오색약수 삼층석탑(보물497호) (0) | 2011.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