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고려 충혜왕(재위 1330∼1332, 1339∼1344) 때 처음 지은 것으로 보이며, 조선 인조 4년(1626) 크게 넓히고 숙종 8년(1682)에는 임천리로 옮겨 지었다. 한국전쟁으로 향교가 불타 없어지자 1952년에 대성전과 동무·서무, 동재·서재 등을 다시 짓고 그 다음해 명륜당을 다시 지었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곳으로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다. 동·서무는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로 대성전 좌우에 자리잡고 있다. 그 앞에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가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로 배치되어 있다. 맨 앞쪽에는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인 명륜당이 있는데 규모는 앞면 7칸·옆면 2칸이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31,01050000,32&queryText=((V_KDCD=31)) <and>(((V_NO >=105)<and>(V_NO <= 105)))
'*강원 > 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주 김제남 신도비(강원도 문화재자료21호) (0) | 2011.10.05 |
---|---|
강릉 이광노 가옥(강원도 문화재자료59호) (0) | 2011.08.19 |
양양 낙산사 홍련암(강원도 문화재자료 36호) (0) | 2011.07.27 |
양양 서림사지 삼층석탑(강원도 문화재자료120호) (0) | 2011.07.19 |
양양 서림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강원도 문화재자료119호) (0) | 201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