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통감속편(국보283호) 원(元)편으로 중국 고대 반고씨부터 고신씨까지 그리고 당나라 천복 1년(901)에서 송(宋)나라 상흥 2년(1279)까지의 사적을 기록한 역사서이다. 이 책은 원나라 1361년에 중국에서 발간된 적이 있고, 그후 60년만에 우리나라에서 찍어냈다. 이 책의 크기는 가로 18.3㎝, 세로 29.2㎝이다. 판본은 ..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7.19
성남 동의보감(보물1085-2호) 이 책은 허준(許浚) 등이 선조의 명을 받아 중국과 우리나라의 의서들을 모아 집성하고 또 임상의학적 체험을 통한 치료방을 모아 놓은 한의학의 백과사전이라 할 수 있는 책이다. 1596년 선조는 허준과 정작, 양예수 등에게 명하여 의서를 편찬하게 했으나, 정유재란으로 편집이 ..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7.18
성남 국조정토록(보물1511호) 이 책은 조선 세종에서 중종조에 이르는 동안 대마도, 파저강, 건주위, 이마차, 서북로구, 삼포왜란 등을 정벌한 역사를 기록한 것이다. 체재를 보면 목록과 범례에 이어 상권에는 대마도 정벌(征對馬島)·파저강 정벌(征婆猪江)·건주위 정벌(征建州衛)이, 하권에는 건주위 정벌(..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7.18
성남 입학도설(보물1136호) 권근(1352∼1409)이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처음 학문을 시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저술한 성리학 입문서로, 전집 단간본과 전·후집 합간본의 두가지가 있다. 권근은 공민왕 17년(1368) 과거에 합격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조선을 개국하는데 공이 커 개국공신에 봉해졌다. 이 책은..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7.18
수원 박유명 초상화(보물1489호, 모사본) 박유명(朴惟明 1582∼1640)은 1620년(광해군 12) 무과에 급제하고, 1623년에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 3등에 책록되고 그 뒤 당상선전관(堂上宣傳官)을 거쳐 오위장(五衛將)을 역임하였다. <박유명 초상>은 낮은 오사모를 쓰고 과장된 둥근 어깨를 하고 있으며 단령..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6.28
용인 궤장및사궤장연회도첩(보물930호, 의자 및 지팡이) 조선시대에는 70세가 넘는 신하에게 공경의 뜻으로 나라에서 지팡이 <장 (杖)>와 의자 <궤 (几)>와 가마 등을 주는 풍습이 있었는데, 그에 따라 왕이 내린 물품이다. 현종 9년(1668) 11월 왕이 당시 원로대신이었던 이경석에게 공경의 뜻으로 내린 궤 1점과 장 4점 그리고 이를 ..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6.13
용인 궤장및사궤장연회도첩(보물930호, 사궤장연회도첩) 조선시대에는 70세가 넘는 신하에게 공경의 뜻으로 나라에서 지팡이 <장 (杖)>와 의자 <궤 (几)>와 가마 등을 주는 풍습이 있었는데, 그에 따라 왕이 내린 물품이다. 현종 9년(1668) 11월 왕이 당시 원로대신이었던 이경석에게 공경의 뜻으로 내린 궤 1점과 장 4점 그리고 이를 ..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6.13
용인 궤장및사궤장연회도첩(보물930호, 지팡이) 조선시대에는 70세가 넘는 신하에게 공경의 뜻으로 나라에서 지팡이 <장 (杖)>와 의자 <궤 (几)>와 가마 등을 주는 풍습이 있었는데, 그에 따라 왕이 내린 물품이다. 현종 9년(1668) 11월 왕이 당시 원로대신이었던 이경석에게 공경의 뜻으로 내린 궤 1점과 장 4점 그리고 이를 ..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6.13
용인 이중로정사공신교서(보물1174-1호) 이 교서는 인조 3년(1625)에 이중로에게 추증한 것으로 그가 죽은 뒤에 내린 것이다. 이중로(1577∼1624)는 개국공신 이지란의 후손으로 이괄의 난 때 이성부와 함께 예성강 상류인 마탄에서 전사하였다. 16살 되던 해에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이듬해 선전관이 되었고, 광해군 13년(1621)..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6.13
용인 이중로 영정(보물1174-2호) 이중로영정은 오사모에 단령을 입고 의자에 앉은 전신좌상이다. 흉배는 모란 및 해태문양이 수놓인 것을 착용하고 있으며, 학정금대(鶴頂金帶)를 두르고 있어 이 초상화가 무관 종2품 때의 도상임을 말해준다. 이 상의 특징을 들자면, 사모의 높이가 상당히 낮으며, 양쪽으로 뻗친..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