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유수 초상(보물1176호) 조선 중기 문신인 유수(柳綏)의 초상화로 크기는 가로 88㎝, 세로 165.5㎝이다. 유수는 경종 1년(1721)에 문과에 급제하여 통정대부에 올랐다. 이 초상화는 의자에 앉아 오른쪽을 바라보는 전신상으로, 얼굴은 선으로 윤곽을 자연스럽게 묘사하여 온화한 성품을 표현하였다. 관리들이 ..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6.13
용인 원균 선무공신교서(보물1133호) 이 교서는 선조 37년(1604) 임진왜란 때 경상우도수군절도사로서 왜군과 대적하여 크게 이기고, 정유재란 때 통제사가 되어 적선을 물리치다 장렬하게 전사한 원균(1540∼1597)에게 공신으로 임명한다는 내용을 담은 공신교서이다. 이것의 내용은 왜군을 물리치고 장렬하게 전사한 원..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6.13
용인 선조어서사송언신밀찰첩(보물941-1호) 조선시대 선조가 직접 써서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송언신(1542∼1612)에게 남모르게 보낸 서찰 7건이다. 송언신은 선조 10년(1577) 문과에 급제하고 여러 벼슬을 두루 거쳐 호조를 제외한 5조의 판서를 지냈다. 명종 때에는 불교를 배척하여 중 보우를 처형할 것을 건의하기도 했다. 서..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6.13
용인 선조어서사송언신밀찰첩(보물941-1호) 조선시대 선조가 직접 써서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송언신(1542∼1612)에게 남모르게 보낸 서찰 7건이다. 송언신은 선조 10년(1577) 문과에 급제하고 여러 벼슬을 두루 거쳐 호조를 제외한 5조의 판서를 지냈다. 명종 때에는 불교를 배척하여 중 보우를 처형할 것을 건의하기도 했다. 서..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6.13
용인 증급유방(보물1577호) 조선시대(15세기) 이 책은 명나라 임강(臨江) 통수(通守) 섭윤현(葉尹賢)이 증험하여 편집한 의가비전(醫家秘傳)의 질병 처방인 『의가비전수신비용가감십삼방(醫家秘傳隨身備用加減十三方)』과 『경험급구방(經驗急救方)』을 한데 모아 조선전기에 간행한 의서(醫書)이다. 감기·독감..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6.13
용인 진언권공(보물1053호) 이 책은 덕종비인 인수대왕대비가 승려 학조로 하여금 시식권공(施食勸供), 일용상행(日用常行) 등 불교에서 하는 여러가지 행사들을 한글로 번역하여 연산군 2년(1496) 5월에 인경목활자로 4백부를 간행하게 한 것이다. 크기는 가로 21.2㎝, 세로 34.5㎝이다. 인수대왕대비와 정현대비는 성..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6.13
시흥 소래산 마애보살입상(보물1324호) 소래산의 마애상은 서있는 모습의 부처를 얇은 선으로 새긴 것으로, 장군바위라고 부르는 바위에 새겨져 있다. 무늬가 새겨진 모자 모양의 둥근 보관을 쓰고 있으며 작고 좁은 관대가 옆으로 휘날리고 있다. 목에는 삼도가 굵은 띠처럼 새겨져 있고 가슴에는 대각선으로 가로지른..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6.04
수원 서북공심돈(보물1710호) 화성의 화서문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선 정조 20년(1796)에 건립되었다. 수원 서북공심돈은 화성 서북측 성벽에서 돌출시켜 남측면의 일부만 성곽에 접하고 나머지 3면이 돌출된 평면을 이루고 있다. 3층 구조로 하부 치성(雉城)은 방형의 석재를 사용하였고 1층과 2층 외벽과 3층 ..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5.07
수원시 보물 *2011년 5월 현재 수원시에 있는 보물입니다. 국보와 천연기념물은 없습니다. 2011년 5월 현재 우리나라 보물 막내는 수원 서북공심돈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문화재청 홈페이지에서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region01.jsp?mc=KS_01_02_02 수원시 보물(2011. 5 현재) 연번 보물 번호 명 칭 관 리 ..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4.30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보물4호)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지주는 양 지주가 원래 모습대로 85㎝ 간격을 두고 동서로 서 있다. 이곳을 중초사터라고 하는 것.. *경기-인천/국보,보물 2011.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