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해주오씨 묘역 해주오씨 묘역에는 쇄미록(보물1096호)를 쓴 오희문 묘(용인시 향토유적34호). 인조 때 영의정를 한 오윤겸 묘(경기도 기념물104호)가 있다. 오윤겸 묘는 해주오씨 묘역 중앙에 있고 오희문 묘는 오른쪽 언덕위에 있는데 오희문의 손자이며 삼학사의 한사람인 오달제 묘는 죽전-광주.. *경기-인천/기타 2011.12.26
용인 오희문 묘(용인 향토유적34호) 오희문은 과거급제를 못해 관직에 오르지 못했으나 학문에 뛰어났던 인물. 오희문이 쓴 쇄미록(보물1096호)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약9년 3개월동안 쓴 일기로 총7책으로됨. 아들 오윤겸은 인조 때에 영의정. 오희문의 손자이며 오윤겸의 조카인 오달제는 병자호란 때 끝까지 싸울 것을 주.. *경기-인천/기타 2011.12.26
용인 약천선생 별묘(용인 향토유적53호) 약천선생 별묘(용인 향토유적53호)는 모현면 소재지에서 포곡읍 방향으로 가다보면 갈담사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1시 방향으로 우회전한 후 120m 가서 3시방향으로 우회전, 이후 거의 직진 방향으로 약500m 가면 왼쪽에 작은 동산이 나오는데 이 동산의 서편에 있다. *경기-인천/기타 2011.12.22
광주 신성하묘 영의정 신완의 아들묘. 고려개국일등공신 신숭겸 및 신립장군의 후손. 신립장군 묘소 아래에 있음. 신립장군의 아들이며 인조반정의 주역으로 정사1등공신인 영의정 신경유의 고손자. 묘표가 없음. 동자석 머리가 없음. 뒤에 보이는 묘가 신성하묘 용 모양의 조각이 예사롭지 않.. *경기-인천/기타 2011.11.22
광주 신준묘 형조판서 신준은 임진왜란 때 탄금대에서 순국한 신립장군의 손자. 아버지는 광해군을 몰아내는 인조반정의 주역인 정사1등공신 영의정 신경진임. 신립장군묘역에서 맨위에 있음. 신준묘 아래에 손자인 영의정 신완묘가 있음. 찾아 가는 방법은 신립장군묘 찾아가는길 참조. 누.. *경기-인천/기타 2011.11.17
광주 신완묘 신완은 조선 숙종때 문신(1646~1707). 자는 공헌(公獻). 호는 경암(絅庵). 1672년(현종 1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694년 예조판서, 1700년 우의정. 희빈 장씨(禧嬪張氏)의 처벌완화를 주청하였고 시무 8조를 올림, 일부 반대로 뜻을 이루지는 못함. 북한산성의 축성을 건의하여 윤허 얻음.. *경기-인천/기타 2011.11.17
광주 우리절 우리절입니다. 우리절 특이하죠? 현대식 슬라브집이네요. 앞마당에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59호인 우리절 오층석탑(http://blog.daum.net/dbsqkqh/1298)이 있다. 우리절에 찾아가기는 쉽다. 내비 아가씨가 잘 안내하고, 길가에 안내판도 있고... 거의 다왔습니다. 오층석탑 사진이 보이네요. 오른쪽으.. *경기-인천/기타 2011.11.17
광주 추곡리 백련암 2 오른쪽에 올라온 길이 진한색으로 보인다.... 드디어 백련암이. 백련암은 태화산 정산 가까이에 있고 경사가 아주 심해 올라 오기 힘듬. 백련암 입구에 있는 추곡리백련암부도(경기도 문화재자료53호)가...주변은 공사중이라... 암벽 아래에 대웅전이... 이런 곳까지 포크레인이 올라와 공.. *경기-인천/기타 2011.11.15
광주 추곡리 백련암 1 추곡리 백련암부도에 찾아가는데 올라가면서 쉴겸 여러장의 사진을 찍음. 도척면 도척저수지 상류에 있는 안내판 추곡리정류장 왼쪽으로. 힘들게 올라간 주차장. 징말로 경사가 심하고 길도 좁음. 이곳에 주차 후 걸어서 바위에 습곡 모습 바위를 감싸는 나무도 있고 *경기-인천/기타 2011.11.15
성남 망경암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553-1에 있는 망경암은 영장산 남서쪽에 있다. 경기도 유형문화재102호인 망경암마애여래좌상은 사진 오른쪽끝 암반에 작게 보인다. 이 입구 근처까지 와서 적당한 공터에 주차해도 되지만 사진과 같이 길이 좁고 경사가 심하여 큰길에서 주차하고 걸어오는 .. *경기-인천/기타 201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