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봉도각 내 노거수 1 *영주 순흥면 봉도각(http://blog.daum.net/dbsqkqh/1903)에 있는 버드나무가 노익장을...그러나 치료해주었으면 하네요. *경상-부산-대구/천연기념물, 노거수 2011.05.25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보물1402호) 문성공묘는 소수서원의 경내에 있는 제향기능의 사당으로 안향을 주향(主享)으로, 문정공(文貞公) 안축(安軸) · 문경공(文敬公) 안보(安輔) · 문민공(文敏公) 주세붕(周世鵬)의 위패를 함께 봉안하고 있다. 규모는 정면3칸, 측면3칸의 맞배집으로 장대석으로 마무리한 낮은 기단위에 둥..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1.04.20
영주 안향초상(국보111호) 고려 중기 문신인 회헌 안향(1243∼1306) 선생의 초상화로 가로 29㎝, 세로 37㎝의 반신상이다. 안향은 고려 원종 1년(1260)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하였으며, 여러 차례에 걸쳐 원나라에 다녀오면서 주자학을 우리나라에 보급한 인물로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라고 할 수 있다. 그림의 ..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1.04.20
영주 압각수(경상북도 보호수46호) 영주 금성대군 신단(사적491호, http://blog.daum.net/dbsqkqh/154) 뒷편에 있는 은행나무 *경상-부산-대구/천연기념물, 노거수 2011.04.20
영주 금성대군 신단(사적491) 금성대군신단은 단종 복위운동과 관련된 유적으로 18세기에 탕평정치의 움직임이 활성화됨에 따라 국왕에 대한 의리가 다시금 강조되는 정치적 분위기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당대 왕조의 인신(人神)을 위한 제단의 사례는 극히 드물다는 점에서 당시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가치.. *경상-부산-대구/명승, 사적 2011.04.20
영주 태장리 느티나무(천연기념물274호) 느티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자라서 둥근 형태로 보이며, 꽃은 5월에 피고 원반모양의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줄기가 굵고 수명이 길어서 쉼터역할을 하는 정자나무로 이용되거나 마을을 보호하고 지켜주는.. *경상-부산-대구/천연기념물, 노거수 2011.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