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사현정(경상북도 기념물69호) 고려시대 후기 사람인 안석 선생과 그의 세 아들이 쓰던 우물이다. 밀직공 안석 선생은 호장(戶長)에 추대되었으나,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그의 세아들 축(軸)·보(輔)·집(輯)을 훌륭히 키웠는데, 이 때 함께 사용하던 우물이라 한다. 우물은 화강암을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3단 조립한 ..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4.18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보물59호) 당간지주는 사찰입구에 세워두는 것으로,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이 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 두는데 이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이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은 소수서원 입구 소나무 숲에 남아 있는 것으로, 서원내에 ..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1.04.18
영주 성혈사 나한전(보물832호) 성혈사는 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세웠다고 한다. 지형에 따라 건물을 자연스럽게 배치한 성혈사 나한전은 부처님의 제자인 나한을 모신 곳이다. 임진왜란(1592) 이후 새롭게 지은 것으로 생각하는데 1984년 수리를 할 때 발견한 기록에 따르면, 조선 명종 8년(1553)에 처음 지었고 인조 12년(1634)..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1.04.18
영주 순흥 연리지송(경상북도 기념물159호) * 영주시 순흥면사무소 내에 자라고 있다. 그런데.... 영주시청 홈피에 순흥면 읍내리 314-3 순흥면사무소 내에 있는 순흥연지지송이 도기념물159호로 2007. 1. 8일에 지정되었다고 되어 있는데 문화재청에 찾아보니 없네요.(http://tour.yeongju.go.kr/open_content/cultural_heritage/province_cultural_assets/monument/uiyeunri?m=adv) 현장 안내판에도 기념물로 표기되어 있는데.... 연리지(連理枝)란 이웃하고 있는 두 나무의 가지가 자연적으로 서로 맞닿아서 인위적으로 접목을 한 것처럼 나무결이 서로 이어진 것을 말하며, 화목한 부부 또는 남녀의 애정이 깊음을 비유하기도 한다. 금슬송(琴瑟松)이라고도 불리워지고 있는 순흥의..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4.16
진주 촉석루(경상남도 문화재자료8호) 남강 변 벼랑 위에 있는 이 누각은 진주성의 남쪽 장대(지휘하는 사람이 올라서서 명령하던 대)로서 장원루라고도 한다. 고려 공민왕 14년(1365)에 세운 후 7차례의 중건과 보수를 거쳤는데, 전쟁이 일어나면 진주성을 지키는 지휘본부로 사용하였고, 평상시에는 과거를 치루는 고시장으로 .. *경상-부산-대구/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1.04.14
부산 영도 태종대(명승17호) 부산 태종대는 아름다운 암석의 단애로 이루어진 절승으로 부산을 대표하는 해안경관지로서 울창한 해송 숲과 함께 기암절벽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왕성한 해안침식에 의한 해식동굴, 해식애 등 아름다운 지형을 형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남부지역의 임상을 잘 나타내고 있는 곰솔.. *경상-부산-대구/명승, 사적 2011.04.14
진주 의암(경상남도 기념물235호) 의암은 논개가 왜장을 끌어안고 순국한 바위이다. 조선조 선조 26년(1593) 6월 29일, 임진왜란 제2차 진주성전투에서 진주성이 함락되고, 7만 민관군이 순절하자, 논개는 나라의 원수를 갚기 위해 왜장을 유인하여 이 바위에서 순국하였다. 이에 논개의 순국정신을 현창하기 위해 영남사람들.. *경상-부산-대구/유형문화재,기념물 2011.04.14
명승16호인 예천 회룡포 찾아서 회룡포는 용이 휘감아 돌아가는 것처럼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의 물이 휘돌아 간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육지 속의 섬마을이다. 예천 회룡포를 한눈에 내려다 보려면 비룡산에 올라야하는데 비룡산에는 장안사(http://blog.daum.net/dbsqkqh/1865)라는 천년사찰이 있다. 이 사찰 왼쪽으로 올라.. *경상-부산-대구/명승, 사적 2011.04.12
세금을 내는 나무 예천 금남리 황목근(팽나무, 천연기념물400호) 예천 금남리 황목근은 성은 황이요 이름은 목근인 팽나무이다. 용궁면소재지 남쪽 금원마을 들 가운데 있다. 예천 금남리 황목근과 같이 재산이 있어 세금을 내는 나무로 천연기념물294호인 예천 천향리에 소나무인 석송령(http://blog.daum.net/dbsqkqh/1881)이 있다. 나무를 아끼는 조상님들의 놀.. *경상-부산-대구/천연기념물, 노거수 2011.04.12
영주 단촌리 느티나무(천연기념물273호) 느티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자라서 둥근 형태로 보이며,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원반모양으로 10월에 익는다. 줄기가 굵고 수명이 길어서 쉼터역할을 하는 정자나무로 이용되거나 마을을 보호하고 지켜주.. *경상-부산-대구/천연기념물, 노거수 2011.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