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자치통감 권236~238(보물1281-1호) 사마광이 편찬한 편년체(編年體:연대에 따라서 편찬한 역사편찬의 한 체제)의 중국통사를 조선시대 세종의 명령으로 윤회, 권제 등이 교정하고 주석을 덧붙이거나 빼서 세종 18년(1436)에 간행한 고문서이다. 크기는 가로 14.7㎝, 세로 27.7㎝이며, 간행에 관한 기록은 없으나, 완질이 전하는 .. *서울/국보,보물 2015.08.18
용산 성리대전서절요(보물1157-1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성리대전서절요 이 책은 조선 중종 32년(1538)에 김정국(1485∼1541)이 방대한 『성리대전』의 내용 가운데 필요한 부분만을 간추려 4권으로 편집한 것이다. 원래『성리대전』은 중국 명나라의 호광 등 42명의 학자들이 송나라 때의 성리학설에 원나라때 성리학자의 학.. *서울/국보,보물 2015.08.18
용산 홍무예제(보물1079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홍무예제 예(禮)에 관련하여 편찬된 책이다. 중국 명나라 태조는 천하를 평정하고 당시 각지의 유학자들을 모집하여 예서(禮書)를 편찬하게 하였는데,『홍무예제』는 그 중 하나이다. 『홍무예제』는 당시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 태종 때까지 예조의 의식 등에 많.. *서울/국보,보물 2015.08.18
영조 후궁 영빈이씨 인장 소유영빈지인. 명귀뉴은보. 영빈이씨는 영조의 후궁이며 사도세자의 어머니이다. 영조의 할머니. 영빈이씨는 사도세자가 사망한 2년 뒤인 1764년에 세상을 떠났다. *서울/기타 2015.08.09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보물1877호) 2015. 4. 22일에 보물로 지정된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최근에 보물로 지정되어 있어 그런지 안내에도 보물이라는 내용이 없다.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는 신라말 고려초의 고승인 낭공대사(朗空大師) 행적(行寂)〔832(흥덕왕7)~ 916(신덕왕5)〕의 탑비이다. 비.. *서울/국보,보물 2015.08.09
용산 상지은니묘법연화경(국보185호) 국보185호인 묘법연화경을 광주국립박물관에서 찍은 것인데 진품인지 아닌지 모르겠다. 문화재청에는 국보185호의 소재지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서울문화재로 등록하였다. 묘법연화경은 줄여서 ‘법화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우리나라 천태종의 근본경전.. *서울/국보,보물 2014.01.29
용산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1168호)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의 소장품인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을 광주국립박물관에서 '대숲에 부는 바람'(2013. 11. 12~2014. 2. 2)의 특별전시회에서 보았다. 고려시대 만들어진 높이 33㎝, 아가리 지름 5.2㎝, 밑지름 11㎝인 매병이다. 아가리는 서 있고 어깨에서부터 풍만하게 벌어지다가 서서히 좁.. *서울/국보,보물 2014.01.25
용산 허목수고본(보물592-1호) 허목수고본(許穆手稿本)는 조선 후기의 유학자인 미수 허목(1595∼1682)이 쓴 수필 원고본들이다. 허목은 전서체에 뛰어난 유학자이며, 23세 때 정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퇴계 이황의 학문을 존중하였다. 이로 인해 스승 정구로부터 퇴계의 학문을 이어 받아 다시 그 학문이 이익에 의해.. *서울/국보,보물 2013.02.12
용산 허목수고본(보물592-1호) 허목수고본(許穆手稿本)는 조선 후기의 유학자인 미수 허목(1595∼1682)이 쓴 수필 원고본들이다. 허목은 전서체에 뛰어난 유학자이며, 23세 때 정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퇴계 이황의 학문을 존중하였다. 이로 인해 스승 정구로부터 퇴계의 학문을 이어 받아 다시 그 학문이 이익에 의해.. *서울/국보,보물 2013.02.12
용산 고려말 화령부 호적관련고문서(국보131호) 이 호적은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1335∼1408)의 본향인 영흥에서 작성한 것이다. 원래 고려시대 양반은 3년에 한 번씩 호적을 작성하는데 이 때 2부를 작성한다. 1부는 관아에 보고하고 다른 1부는 자신이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이성계 자신이 보관하고 있었던 .. *서울/국보,보물 2013.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