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이광사가 쓴 두보의 시(보물1677호)?? 다음 사진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작년 8월에 찍은 사진인데, 원교 이광사가 쓴 두보의 시가 보물1677호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문화재청에 보물1677호를 검색해보니 '이광사 행서 화기'이다. 안내가 잘못된듯. 1. 보물1677-1호(이광사 행서 화기)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 *서울/국보,보물 2012.10.05
용산 허목수고본(보물592-1호) 허목수고본(許穆手稿本)는 조선 후기의 유학자인 미수 허목(1595∼1682)이 쓴 수필 원고본들이다. 허목은 전서체에 뛰어난 유학자이며, 23세 때 정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퇴계 이황의 학문을 존중하였다. 이로 인해 스승 정구로부터 퇴계의 학문을 이어 받아 다시 그 학문이 이익에 의해.. *서울/국보,보물 2012.10.05
용산 데니 태극기(등록문화재382호) 구한말 고종이 미국인 외교고문 데니(O. N. Denny, 1838~1900)에게 하사한 것으로 알려진 태극기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태극기(출처 : 문화재청) 고종의 외교 고문을 지낸 미국인 데니가 1890년 미국으로 돌아갈 때 가져갔던 태극기.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 *서울/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10.05
서울 홍제동 오층석탑(보물166호) 사현사의 옛터에 있던 탑으로, 시가지 확장을 하면서 1970년 경복궁으로 옮겨 왔다.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 놓았다. 탑은 자연석이 기단(基壇)을 대신하여 5층의 탑신(塔身)을 받치고 있는데 이것은 후대에 보수한 것으로 보인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돌로 되어있다. 1.. *서울/국보,보물 2012.08.23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보물358호) 고려 후기의 승려인 보제존자의 사리탑으로, 모두 2기이다. 1915년, 일본인에 의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 세워졌는데, 보통 승려의 사리탑과는 달리 석탑 형식을 취하고 있다. 보제존자(1320∼1376)는 여주 신륵사에서 입적한 나옹화상으로, 신륵사에 그의 사리탑이 남아 있으나 제자들에.. *서울/국보,보물 2012.08.23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국보3호)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이 세운 순수척경비(巡狩拓境碑) 가운데 하나로, 한강유역을 영토로 편입한 뒤 왕이 이 지역을 방문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원래는 북한산 비봉에 자리하고 있었으나 비(碑)를 보존하기 위하여 경복궁에 옮겨 놓았다가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 *서울/국보,보물 2012.08.23
용산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국보91호) 경주시 금령총에서 출토된 한 쌍의 토기로 말을 타고 있는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다. 주인상은 높이 23.4㎝, 길이 29.4㎝이고, 하인상은 높이 21.3㎝, 길이 26.8㎝이다. 경주시에 있는 금령총에서 1924년에 배모양 토기와 함께 출토되었으며, 죽은 자의 영혼을 육지와 물길을 통하여 저세상으로 .. *서울/국보,보물 2012.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