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니 태극기(등록문화재382호) 구한말 고종이 미국인 외교고문 데니(O. N. Denny, 1838~1900)에게 하사한 것으로 알려진 태극기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태극기(출처 : 문화재청). 데니 태극기는 2008년 8월 12일 등록문화재 제382호로 지정.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79,03.. *서울/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2.02.05
덕수궁 중명전(사적124호) 중명전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53호였지만 2007년 2월 7일 덕수궁과 함께 사적124호로 지정되어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53호는 지정 해제 되었다.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530000,11 중앙 현관에 있는 중명전(重眀殿) 현판의 명자는‘眀’.. *서울/명승, 사적 2012.02.05
덕수궁 함녕전(보물820호) 함녕전은 고종황제가 거처하던 황제의 생활공간(침전)이다. 광무 1년(1897)에 지었는데 광무 8년(1904) 수리공사 중 불에 타, 지금 있는 건물은 그해 12월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이곳은 순종에게 왕위를 물려 준 뒤 1919년 1월 21일 고종황제가 돌아가신 곳이기도 하다. 규모는 앞면 3칸.. *서울/국보,보물 2012.02.04
중구 보루각 자격루(국보229호) 물시계는 물의 증가량 또는 감소량으로 시간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삼국시대부터 나라의 표준 시계로 사용하였다. 조선 세종 16년(1434) 장영실에 의해 정해진 시간에 종과 징·북이 저절로 울리도록 한 물시계가 처음 제작되었으나, 오래 사용되지는 못하였고, 중종 31년(1536)에 다시 제작.. *서울/국보,보물 2012.02.04
중구 흥천사 종(보물1460호) 흥천사종은 고려말부터 수용된 중국종적인 요소 가운데 한국 전통 종에서 보였던 형식과 요소가 가미되어 새로운 조선전기의 종으로 정착되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 범종이다. 이후 만들어지는 조선전기 범종의 하나의 기준이 되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흥천사종은 다른 조선전기 범종의 .. *서울/국보,보물 2012.02.04
덕수궁 중화전 및 중화문(보물819호) 중화전은 덕수궁의 중심 건물로 임금님이 하례(賀禮)를 받거나 국가 행사를 거행하던 곳이고 중화문은 중화전의 정문이다. 광무 6년(1902)에 지었으나 1904년 불에 타 버려 지금 있는 건물은 1906년에 다시 지은 것들이다. 중화전의 규모는 앞면 5칸·옆면 4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 *서울/국보,보물 2012.02.04
종로 경희궁지(사적271호) 3 경희궁지 : http://blog.daum.net/dbsqkqh/1757 문화재청 : =271)(V_NO%20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2710000,11&queryText=((V_KDCD=13))%20<and>(((V_NO%20>=271)<and>(V_NO%20<=%20271))) *서울/명승, 사적 2012.01.29
종로 경희궁지(사적271호) 2 경희궁지 : http://blog.daum.net/dbsqkqh/1757 문화재청 : =271)(V_NO%20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2710000,11&queryText=((V_KDCD=13))%20<and>(((V_NO%20>=271)<and>(V_NO%20<=%20271))) *서울/명승, 사적 2012.01.29
종로 경희궁지(사적271호) 1 원종의 집터에 세워진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이궁이다. 원종(1580∼1619)은 선조의 5째 아들이자 인조의 아버지로 후에 왕으로 추존되었다. 광해군 8년(1616)에 세워진 경희궁은 원래 경덕궁 이었으나 영조 36년(1760)에 이름이 바뀌었다. 원래의 규모는 약 7만여평 이었다. 그러나 민족항.. *서울/명승, 사적 2012.01.29
종로 경희궁 흥화문(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19호) 조선 광해군 8년(1616)에 세운 경희궁의 정문이다. 그러나 일제가 경성중학교를 건립하고자 궁내의 많은 전각을 헐면서 그 기능을 상실했다. 그 후 일제는 1932년 남산 자락에 이등박문(伊藤博文)을 위한 사당인 박문사(博文寺)를 건립할 때 정문으로 사용하였다. 해방후 박문사는 폐.. *서울/유형문화재,기념물 2012.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