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 사직단(사적121호) 서울 종로구 사직동 사직공원 내에 있는 사직단. 사직단은 서울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정부중앙청사) 1번출구로 나와 약 300m 쯤 가면 있다. 사직공원안에는 율곡이이선생상과 신사임당상이 있다. 사직단 정문은 보물177호로 지정되었다(http://blog.daum.net/dbsqkqh/1666) 종묘와 함께 토지.. *서울/명승, 사적 2012.01.15
종로 사직단 정문(보물177호) 사직단은 서울 사직공원 내에 있는데 서울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정부중앙청사) 1번출구로 나와 약 300m 쯤 가면 있다. 사직단이란 나라와 국민 생활의 편안을 빌고 풍년을 기원하며 제사 지내는 곳으로 사(社)는 땅의 신을, 직(稷)은 곡식의 신을 말한다. 또한 나라에 큰 일이 있을 .. *서울/국보,보물 2012.01.09
서울 영은문 주초(사적33호) 조선시대에 중국의 사신을 맞아들이던 모화관 앞에 세웠던 주춧돌이다. 개화기에 우리민족의 자유와 독립을 다짐하는 의미로 영은문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을 세우면서 그 기둥을 받치던 밑돌인 주초만 남게 되었다. 모화관은 조선 태종 7년(1407)에 처음 세우고 모화루라 하였.. *서울/명승, 사적 2012.01.09
서대문구 독립문(사적32호) 갑오개혁 이후 자주독립의 의지를 다짐하기 위해 세운 기념물이다. 갑오개혁(1894∼1896)은 내정개혁과 제도개혁을 추진하였던 개혁운동이다. 그러나 외국세력의 간섭으로 성공하지 못하였고, 나라의 자주독립 또한 이루지 못하였다. 이에 국민들은 민족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서는.. *서울/명승, 사적 2012.01.09
서대문 구서울구치소(서대문형무소역사관,사적324호) 일본이 우리나라에 대한 침략을 본격화하기 위해 1907년 인왕산 기슭에 일본인이 설계하여 건립한 근대적인 감옥이다. 5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560여 평의 목조건물을 짓고 ‘경성감옥’이라 불렀다. 종로의 감옥에서 500여 명을 데려와 수용하고 광복을 맞이하는 1945년까지 독립.. *서울/명승, 사적 2012.01.08
서대문 구서울구치소(서대문형무소역사관,사적324호) 서대문형무소역사관(http://www.sscmc.or.kr/newhistory/index_culture.asp)은 서울구치소의 현재 명칭이다. 서대문형무소는 일제강점기때 일본제국에 의해 세운 형무소이다. 일제강점기 때 독립 애국지사뿐만 아니라 광복 이후 민주화운동에 이르기까지 고난과 아픔을 간직한 역사의 현장이다.. *서울/명승, 사적 2012.01.08
조각상 지금은 어디인지 기억이 안나네요. 파주 여행하기 위해 모임장소로 기억나는데 서울 어느장소라고 밖에는...건물 앞의 모습인데 지나가는 행인에게 여유를 주네요. *서울/기타 2012.01.08
서울 청계천 태종이 실권을 장악하고 왕이 된 후에 아버지 이성계의 계비 신덕왕후 강씨의 릉인 정릉에 있는 석물을 이용하여 광통교에 사용한 석물들.(청계천 유적-사적461호, http://blog.daum.net/dbsqkqh/1641) 거꾸로 놓여있는 석물 정조대왕 행차도인데 말위에 임금은 없네요. 임금은 지존이라 그.. *서울/기타 201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