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경 이화원 1 1998년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인 이화원. 서태후의 여름 별장. 중국 최대 규모의 황족 정원. 안내판에 한글로도 설명-많은 한국 사람이 온다는 의미. 평지였던 곳을 파내 만든 곤명호(昆明湖)와 호수에서 파낸 흙으로 쌓은 만수산(萬壽山)으로 구성. 서태후는 이화원을 궁전과 정원 두 가지 기능을 .. *중국/북경 2011.07.25
북경 만리장성 1 진시황제가 북방의 흉노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만든 건축물로 오랜 역사와 문화적 우수성을 과시한 세계문화유산인 만리장성. 달에서도 보인다는데. 베이징 서북쪽에 교통이 편리하다는 뜻인 "사통팔달"에서 이름이 유래한 "팔달령"이라는 곳이 만리장성은 보존이 잘 되어 있어 대부분의 만리장성 관.. *중국/북경 2011.07.25
은정교 근처 골동품 거리 2009. 12. 16~18에 북경에 다년온 여행. 은정교 근처 전통이 살아 숨쉰다는 골목길 상가. 우리나라 인사동과 비슷한 곳. 백년전통의 양불고기집 고육계(烤肉季). 아주 유명한 집이라함. *중국/북경 2011.07.22
상해 홍구공원(노신공원) 윤봉길 의사 유적지인 노신공원(구 홍구공원)은 윤봉길의사가 폭탄을 던진 바로 그 곳. 상해를 찾는 한국인들이 꼭 들러야 할 장소.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김구 국무령이 조직한 한인애국단의 단원 윤봉길은 1932년 4월 29일 상해 홍구 공원에서 열린 히로히토 천황 탄신일 기념행사에서 도시락 폭탄을 .. *중국/항주,소주,상해 2011.07.20
소주 호구산(호구탑) 4 동양의 피사 사탑. 높이 47.5m로 7층 8면 목전석탑(木砖石塔)인 호구탑은 송나라 때인 959년에 건립을 시작해서 961년에 완성된 7층8각 벽돌 탑으로 지반 침하와 화재로 인하여 무너질 듯 동북쪽으로 15도(어디에는 3도59분가량이라 함) 정도 기울어져 있음. 기울어져 있어 중국의 ‘피사의 사탑’이라 함 지반 침하가 일어난 이유가 합려가 묻은 명검을 찾으려고 호구 일대를 파헤쳐 탑이 기울었다는 사람들도 있고, 탑 아래에 합려의 무덤이 있기 때문에 탑이 기울었다고도 함. 탑의 골격은 나무와 벽돌이 함께 사용됐다. *중국/항주,소주,상해 2011.07.20
소주 호구산(호구탑) 3 양(梁)나라 때 고승의 설법을 듣기위해서 천여명이 앉았다는 천인석(千人石) 당나라 서예가 명필 안진경(顔眞卿)의 글씨, 혹은 안진경의 아들인 안군이 썼다고 한다. 검지(劍池)는 바위로 된 10여평 되는 웅덩이인데 오왕 합려의 유체와 함께 묻은 검을 찾기 위해서 당태종 때 땅을 파다가 물이 많이 나와서 중지했다함. *중국/항주,소주,상해 2011.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