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해미읍성(사적116호) 1 고려 말부터 국정이 혼란한 틈을 타서 왜구가 해안지방에 침입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바, 이를 효과적으로 제압하기 위하여 조선 태종17년(1417)부터 세종3년(1421) 사이에 당시 덕산(德山)에 있던 충청병마도절제사영(忠淸兵馬都節制使營)을 이 곳에 옮기고자 축성(築城)되었으며, 효종3..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2.10.07
서산 부장리고분군(사적475호) 서산 부장리 고분군은 2004년 ~ 2005년 충남역사문화원에서 임대아파트 조성부지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청동기시대 유구는 총 37기로 그 가운데 주거지가 31기, 수혈유구가 6기 조사되었다. 백제시대 유구는 총 74기로 주거지가 40기, 분구묘 13기, 수혈유구 18기, 석곽묘 3기가 조사..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2.03.10
공주 수촌리 고분군(사적460호) 공주수촌리고분군은 공주시에서 계획한 의당농공단지 조성 예정부지에 대한 지표조사 후 유적의 존재가 확인되어 해당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 각종유물이 발견되었다. 공주수촌리고분군 일대에서는 청동기시대 주거지, 초기철기시대 토광묘, 백제시대 부묘(대형토광목곽묘, 횡혈..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2.03.04
공주 공산성(사적12호) 3 잠종냉장고 등록문화재 232호인 금강철교 공산정 산성공원 야경 사적474호인 공주 정지산유적에서 바라본 산성공원(공산성) 공주시내 금강철교와 산성공원 문화재청 : =12)(V_NO%20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0120000,34&queryText=((V_KDCD=13))%20<and>(((V..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2.02.18
공주 공산성(사적12호) 2 공산성에서 내려다 본 금강. 왼쪽에 공주대학교가 보인다. 임류각 장대지는 임류각 옆에 있는 공터이다. 연지 옆 만하루와 등록문화재232호인 금강철교(http://blog.daum.net/dbsqkqh/1077)가 보인다. 만하루 옆에 연지가 있음. 문화재청 : =12)(V_NO%20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2.02.18
공주 공산성(사적12호) 1 학창시절 자주 올랐던 공주 공산성을 3회에 걸쳐 올려본다. 공산성은 백제의 수도가 공주였을 때, 공주를 지키던 백제의 산성이다. 금강변 야산의 계곡을 둘러싼 산성으로, 원래는 흙으로 쌓은 토성이었으나 조선시대에 석성으로 고쳤다. 쌓은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며, 백제 때에는 웅진..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2.02.18
공주 우금치 전적지(사적387호) 우금치 고개는 1894년 동학농민군이 관군과 일본군의 연합군을 상대로 최후의 격전을 벌인 장소이다. 공주에서 부여로 넘어가는 견준산 기슭의 고개로 우금고개, 우금재 또는 비우금 고개라고도 부른다. 1894년 9월, 전봉준이 이끄는 동학농민군은 일본군의 경복궁 침범과 경제적 약탈을 ..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2.01.02
공주 석장리유적(사적334호) 공주에서 대전으로 가는 금강가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적이다. 구석기시대란 인류가 돌을 깨뜨려 도구로 사용하고 사냥이나 물고기잡이, 식물채집을 통해 생활한 문화단계를 말하는데, 인류가 태어나 1만년 전까지의 시기로 보고 있다. 찍개·긁개·주먹도끼·새기개 등의 석..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1.12.26
공주 장선리 유적(사적433호) 충남 공주시 탄천면 장선리 및 안영리 일대에 위치한 토실유적으로, 천안 - 논산간 고속도로 휴게소부지 조성을 위한 발굴조사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이 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주거지 4기, 원형유구 30여기, 석관묘 1기, 옹관묘 1기, 적색마연토기 등을 비롯한 다수의 송국리형토기와 다양..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1.12.22
부여 궁남지(사적135호) 부여 남쪽에 위치한 백제의 별궁 연못이다. 백제 무왕 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궁궐의 남쪽에 연못을 팠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궁남지라 부른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20여 리나 되는 긴 수로를 통해 물을 끌어들였고, 주위에 버드나무를 심었으며 연못 가운데에 ..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1.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