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문화재 54

경주 이언적 수고본 일괄(보물 제586호)

경주 독락당(보물 제413호, http://blog.daum.net/dbsqkqh/5758) 참조 보물사진 출처 : 문화재청 보물 제586-1호 이언적 수고본 일괄 – 속대학혹문 이언적 수고본 일괄-속대학혹문(李彦迪 手稿本 一括-續大學或問)은 조선 중종 때의 유학자이며 정치가인 회재 이언적(1491∼1553)이 명종 2년(1547)에서 명종 8년(1553) 사이에 직접 쓴 저술 가운데 하나이다. 회재 이언적은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로 24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갔다. 김안로를 등용하는 것을 반대하다가 귀양을 가기도 했으며, 김안로 일파가 몰락한 뒤 다시 정치에 나섰고, 후에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어서 그의 송덕비가 세워지기도 했다. 1547년 조작된 양재역벽서사건에 연루되어 강제로 유배되었고, 그..

경주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해동명적(보물 제526호)

경주 독락당(보물 제413호, http://blog.daum.net/dbsqkqh/5758) 참조 아래 사진 출처 : 문화재청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해동명적(보물 제526호)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 - 해동명적(驪州李氏 玉山門中 遺墨 - 海東名蹟)』은 조선 중종 때의 문신인 신공제(1469∼1536) 선생이 우리나라 역대 명필의 글씨가 돌에 새겨 있는 것을 탁본하여 상하 2책으로 묶은 것이다. 상권에는 조선시대 문종과 성종의 어필을 앞에 따로 놓고 다음에 신라시대 최치원, 김생, 영업의 3인과 고려시대 탄연, 이암, 신덕린 등의 3인을 합한 6인의 글씨를 모아 놓았다. 하권에는 이강, 승려 혜근, 성석린, 박초, 권근, 이첨, 정도전, 정총, 민자복, 신색 등 12인의 글씨가 실려 있다. 이 책은 탁..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국보 제40호)

경주 옥산서원에 예정없이 갔다가 들른 곳이다. 탑이 특이하고 예쁘네요. 옥산서원에 가시거든 꼭 찾아 보아요. 경주 정혜사터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흙으로 쌓은 1단의 기단(基壇) 위에 1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인데, 통일신라시대에서는 그 비슷한 예를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모습이다. 1층 탑몸돌이 거대한데 비해 2층부터는 몸돌과 지붕돌 모두가 급격히 작아져서 2층 이상은 마치 1층탑 위에 덧붙여진 머리장식처럼 보인다. 큰 규모로 만들어진 1층 몸돌은 네 모서리에 사각형의 돌기둥을 세웠으며, 그 안에 다시 보조기둥을 붙여 세워 문을 만들어 놓았다. 이렇듯 문을 마련해 놓은 것은 열린 공간을 추구하고자 한 의지의 표현으로 보여진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을 조각이 아닌 별개의 다른 돌로 만들어 놓았고,..

경주 귀후재(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18호)

경주 귀후재는 경주 독락당 근처에 있어 왼쪽으로 간다. 문화재청에는 귀후재 주소가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301-2(옥산리 1562-1)’로 되어 있는데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301-4(옥산리 1562-1)’이다. 문화재청에 이미지 사진이 잘못되었다. 경상북도 경주시 문화재과 054-779-6110~9로 전화하여 수정 부탁했네요. 조선후기에 가면 각 마을마다 자제들을 교육하기 위한 서당, 강학당을 건립해 나가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였다. 귀후재도 이 범주에 속하는 문중자제들을 위한 강학당이다. 역사적인측면에서 귀후재는 옥산에 약 450여년간 세거해온 여강이씨의 대표적인 강학당(講學堂)이라는 점에서 역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인근 양동마을의 대표적인 서당인 강학당(講學堂, 중요민속문화재 ..

경주 이견대(사적 제159호)

이견대 옆에 주차장(감포읍 대본리 668-1)이 있다. 문화재청에는 이견대가 '감포읍 대본리 661'로 되어 있는데 '감포읍 대본리 664-3'에 있다.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 제30대 문무왕의 수중릉인 대왕암이 가장 잘 보이는 곳에 위치한 건물이다. 죽어서도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는 문무왕의 호국정신을 받들어 31대 왕인 신문왕이 681년에 세웠다. 신문왕은 해변에 감은사라는 절을 짓고, 용이 된 아버지가 절에 들어와서 돌아다닐 수 있도록 법당 밑에 동해를 향하여 구멍을 하나 뚫어 두었다. 그 뒤에 용이 나타난 곳을 이견대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또 이견대에서 신문왕이 용으로부터 세상을 구하고 평화롭게 할 수 있는 옥대와 만파식적이라는 피리를 하나 받았다고도 한다. 이견대라는 이름은 신문왕이 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