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계유명삼존천불비상(국보108호)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서광암(瑞光庵)에서 발견된 작품으로, 비석 모양의 돌에 불상과 글을 새겨 놓은 것이다. 사각형의 돌 전체에 불상을 새겼는데, 앞면의 삼존불(三尊佛)을 중심으로 좌우에는 글이 새겨져 있고, 그 나머지 면에는 작은 불상을 가득 새겨 .. *충청-대전/국보,보물 2012.12.07
공주 의당금동보살입상(국보247호) 1974년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송정리의 한 절터에서 출토된 보살상으로, 높이는 25㎝이며,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머리에는 삼면보관(三面寶冠)을 쓰고 있는데, 가운데에 작은 부처가 표현되어 있어 관음보살을 형상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마는 머리카락이 반쯤 내려.. *충청-대전/국보,보물 2012.12.07
공주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 수대문경(국보161-3호)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중국 한나라 때 동물들을 문양으로 새겨 넣은 거울인 수대경을 본받아 만든 지름 18.1㎝의 거울이다. 거울 중앙의 꼭지를 중심으로 9개의 작은 돌기가 있다. 안쪽에는 크고 작은 원이 있고 그 사이에 7개의 둥근 돌기와 사신(四神), 세 마리의 상서로운 동물무늬.. *충청-대전/국보,보물 2012.12.06
공주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 의자손명 수대문경(국보161-2호)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중국 한나라 수대경을 본떠 만든 지름 23.2㎝의 거울이다. 거울 중앙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꼭지를 중심으로 9개의 돌기가 있다. 그 위 안쪽으로 있는 크고 작은 원에는 7개의 돌기가 있으며, 사이에는 천지사방을 맡아 다스린다는 사신과 상서로운 동물들의 .. *충청-대전/국보,보물 2012.12.06
공주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 신수문경(국보161-1호)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청동으로 만든 거울로 지름 17.8㎝이며, ‘방격규구문경’이라는 중국 후한의 거울을 모방하여 만든 것이다. 거울 중앙의 꼭지를 중심으로 12개의 작은 돌기가 솟아있으며, 돌기 사이사이에 십이지(十二支)의 문자를 하나씩 새겼다. 안쪽의 원둘레에는 아랫도.. *충청-대전/국보,보물 2012.12.06
공주 무령왕비 은팔찌(국보160호) 공주시 무령왕릉 왕비의 나무널(목관)내 왼쪽 팔 부근에서 발견된 한 쌍의 은제 팔찌로, 바깥지름 8㎝, 고리지름 1.1㎝이다. 팔목이 닿는 안쪽에는 톱니 모양을 촘촘히 새겼고, 둥근 바깥면에는 발이 셋 달린 2마리의 용을 새겼다. 용의 조각은 세밀하지는 않으나 힘이 있어, 묵직한 팔찌와 .. *충청-대전/국보,보물 2012.12.06
공주 무령왕비 금귀걸이(국보157호)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 때 귀고리 2쌍으로 길이는 11.8㎝, 8.8㎝이다. 왕비의 귀고리로, 굵은 고리를 중심으로 작은 장식들을 연결하여 만들었다. 한 쌍은 복잡한 형식으로 길고 짧은 2줄의 장식이 달려 있고, 다른 한 쌍은 1줄로만 되어있다. 앞의 귀고리 중 긴 가닥은 금 철사를 .. *충청-대전/국보,보물 2012.12.06
공주 무령왕 금제관식(국보154호)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의 금으로 만든 왕관(王冠) 꾸미개(장식) 한쌍이다. 높이는 각각 30.7㎝, 29.2㎝이고, 너비는 각각 14㎝, 13.6㎝이다. 1971년 무령왕릉이 발견·조사되었을 때, 왕의 널(관) 안쪽 머리 부근에서 포개진 상태로 발견되었다. 금판을 뚫어서 덩굴 무늬를 장식했으며.. *충청-대전/국보,보물 2012.12.01
공주 무령왕 금귀걸이(국보156호)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시대의 금 귀고리 한 쌍으로 길이는 8.3㎝이다. 왕의 널(관)안 머리 부근에서 발견되었으며, 호화로운 장식이 달려있다. 굵은 고리를 중심으로 2가닥의 장식을 길게 늘어뜨렸다. 하나는 속이 빈 원통형의 중간 장식 끝에 금판으로 된 커다란 나뭇잎 모양의.. *충청-대전/국보,보물 2012.12.01
공주 무령왕 금제 뒤꽂이(국보159호)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금으로 만든 뒤꽂이 일종의 머리 장신구이다. 무령왕릉 나무널(목관) 안 왕의 머리에서 발견되었으며, 길이는 18.4㎝, 상단의 폭은 6.8㎝이다.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역삼각형 모양이며, 밑은 세가닥의 핀 모양을 이루고 있어 머리에 꽂았던 것으로 보.. *충청-대전/국보,보물 2012.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