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문화재 25

무안 백련사 정관당 부도(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02호)

백련사 정관당 부도는 대학 동기부부 모임에 덕유산에 갔다가 잠시 들른 백련사 경내에 있다. 백련사 천왕문 앞에 자리한 정관당 일선선사(1533∼1609)의 사리탑이다. 일선선사는 조선 중기의 승려로 서산대사의 제자이며 전북지역내의 불교 보급에 큰 영향을 미쳤다. 탑은 연꽃을 두른 원..

무안 매월당 부도(전라북도 유형문화재43호)

전라북도 무안에 있는 백련사 일주문 옆에 있는 매월당 부도. 다음지도에는 엉뚱한 곳에 표시되어 있네요. 문화재청에 주소가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107번지'로 되어 있으니 잘 못되었나 봅니다. 백련사 일주문 바로 옆에 있어요. 종모양의 이 부도는 매월당 설흔 스님의 사리를 모신 것으로 조선 정조 8년에 조카인 임선행이 세웠다. 설흔 스님은 정조 8년 백련사에서 생을 마칠 때까지 이 지역 불교발전을 위해 노력한 부능로 안국사 극락전 내 불상 뒤에 그림도 스님의 감독하에 조성되었다.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시는 곳으로, 이 부도는 백련사 일주문 옆 부도밭에 자리하고 있다. 둥근 바닥돌 위에 종모양의 탑신(塔身)을 올려 놓은 간단한 형태를 하고 있다. 바닥돌과 탑신의 맨 윗부분은 ..

무안 백련사지(전라북도 기념물62호)

대학 동기 부부모임으로 덕유산에 갔다가 가본 백련사 일주문 직전에 있는 백련사지. 문화재청에 백련사지 이미지 사진은 현재 백련사 전경이네요. 저 멀리 백련사 일주문이 보인다. 백련사는 명승지 구천동을 대표하는 절로 신라 신문왕 때 백련선사가 숨어 살던 곳이다. 전해 내려오는 말에 의하면 여기서 백련이 솟아 나와서 절을 지었다고 한다. 이 절터에서는 광무 4년(1900)에 이하섭이 고쳐 지으면서 기념비를 세운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한국전쟁 때 건물들은 불에 타 없어졌으나, 경종 3년(1723)에 만들어진 것으로 전하는 백련사의 종은 자리를 옮겨 두어 남아 있다. 지금의 건물은 1962년에 새로 지은 것이다. 대웅전은 앞면 5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과 비슷한..

무안 유교리고가(중요민속문화재167호, 나상열가옥)

우측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보인다. 무안 유교리고가가 있는 마을 앞에는 무안 침계정(무안 향토유적12호, http://blog.daum.net/dbsqkqh/4603)이 있다. 대문은 잠겨있고 왼쪽으로 들어가는 길이 있다. 보수하는 중이다. 약 90년전에 지은 집으로 안채와 일제 때 지은 창고가 있으며 문간채와 중문채..

무안 총지사지석장승(전라남도 민속문화재23호)

멀리 나뭇 사이로 안내판이 보인다. 몽탄청소년야영장에서 서쪽으로 가다보면 대치제일교회 가지전 왼쪽에 있다. 제주 돌하르방처럼 눈이 부리부리하다. 총지사터 입구 양옆에 나란히 서 있는 2기의 돌장승으로, 절의 영역표시 기능과 더불어 경내에서의 수렵·어로 등의 금지를 알리며..

무안 목우암삼존불(전라남도 문화재자료172호)

무안군 몽탄면 달산리 목우암(전라남도 문화재자료82호, http://blog.daum.net/dbsqkqh/4598)의 ㄷ자형 법당 안에 모셔진 삼존불.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달산리 목우암의 ㄷ자형 법당 안에 모셔진 삼존불(三尊佛)로, 양 옆에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협시로 서 있어 본존불이 아미타불임을 알 ..

무안 법천사.목우암(전라남도 문화재자료82호)

무안 법천사석장승(전라남도 민속문화재24호, http://blog.daum.net/dbsqkqh/4589)에서 조금 올라가면 삼거리가 나온다. 법천사는 왼쪽으로 가고 목우암은 오른쪽으로 간다. 요쯤에 주차하고 걸어가시기를... 문화재청에 '조선 후기에 만든 부도 5기가 있다.'라고 되어 있는데 4기가 아닌지...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