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공주 충현서원 유적(충청남도 기념물46호)

천지연미소바위 2012. 3. 3. 11:50

   충현서원 유적은 공주시 계룡산 근처 반포면 소재지에 있다. 내용중 계령산이 충현서원에서 근거리에 있는 계룡산이 아닌지???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질의 내용 : 1. 문화재청 홈피에 있는 충현서원(충청남도 문화재자료60호) 설명내용 중 충현서원사적비가 충청남도기념물 제46호로 되어 있는데 충청남도 기념물 46호는 충현서원 유적(사적비 하나가 아니라 전체가 기념물46호임)인데 잘 못되었네요.
2. 충청남도 문화재자료60호는 주자영정을 모신 맨 안쪽에 있는 충현서원 본건물인데 이미지 사진 중에 충청남도 기념물46호인 충현서원 유적 전경사진이 들어 있네요.
3. 충청남도 기념물46호인 충현서원 유적 설명내용 중 계령산이 혹시 계룡산이 아닌지 궁금하네요.
4. 사소하지만 문화재에 따라 관리자가 ‘사단법인 충현서원’, ‘충현서원’으로 되어 있는데 통일했으면...

 

답변 : 귀 가정의 평안과 화목을 진심으로 기원드립니다
귀하께서 건의하신 문화재청 홈페이지 설명 중 도 문화재자료 제60호 충현서원 및 도 기념물 46호 충현서원에 대한 내용 및 오타 등을 수정하였음을 회신드리며 앞으로도 우리 도의 문화재에 대한 계속적인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오른쪽에 있는 비가 충현서원 사적비이고 왼쪽에 있는 비가 충현서원사실우암송선생추향기이다.

 

 

이 안내판은 서원 안쪽에 방치 되어 있네요.

 

 

 

 

 

충현서원 사적비

 

 

 

충현서원사실우암송선생추향기

 

 

 

 

강당

 

 

 

관리사

 

 

 

 

 

 조선시대의 학자인 서기(1523∼1591)가 중국의 주자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서기는 서경덕, 이지함에게서 가르침을 받고 지리산과 계령산에서 후진 양성에 전념한 분이다. 처음에는 ‘박약재’라는 이름으로 세우고 이존오·이목·성제원 등을 추가로 모셨는데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 광해군 2년(1610)에 복원하고 조헌을 추가로 모셨으며 인조 3년(1625)에 나라에서 인정한 사액서원으로 ‘충현’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그 뒤 김장생·송준길·송시열 등의 위패를 추가로 모시고 지방 유생들을 교육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해 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고종 8년(1871)에 폐쇄되었다. 지금 있는 건물은 1976년 새로 복원한 것이다. 대전∼공주간 국도에 인접하여 세운 이 서원은 사당과 재실, 서원의 유래를 적은 비석들로 구성된 조촐한 규모이다. 사당은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인데 안쪽에는 주자의 영정을 중심으로 좌우에 7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이곳에서는 해마다 3월과 9월에 제사를 지낸다.(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0460000,34&queryText=((V_KDCD=23))%20<and>(((V_NO%20>=46)<and>(V_NO%20<=%2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