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대전/국보,보물

예산 수덕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보물1382호)

천지연미소바위 2013. 3. 23. 21:09

 수덕사 대웅전(국보 제49호)에 모셔져 있는 목조 삼세불좌상 및 복장유물과 연화대좌, 수미단 등이다. 삼세불좌상은 수덕사의 중흥조(中興祖)인 만공(滿空)선사가 전북 남원에 있는 만행산 ‘귀정사(歸淨寺)’로부터 옮겨온 것이라고 한다. 중앙의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약사불, 왼쪽에는 아미타불이 자리하고 있다. 석가모니불은 주존으로서 굽어보는 듯한 자세에 당당한 어깨와 넓은 무릎을 하여 안정되어 보인다. 육계의 구분이 불분명한 머리에는 중앙계주와 정상계주가 표현되어 있으며, 네모꼴의 각진 얼굴에는 근엄한 듯 부드러운 미소가 엿보인다. 귀는 길어서 어깨까지 늘어졌고, 가늘어진 목에는 세 개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뚜렷하다. 옷은 양어깨를 다 덮는 통견(通肩) 형식으로 오른팔이 드러나게 함으로써 17세기 불상들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손 모양은 왼손을 무릎 위에 두고 오른손을 무릎 아래로 내려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고 있다. 약사불과 아미타불 또한 머리 모양, 얼굴 형태와 귀·눈·입·코의 표현, 양 손과 옷주름선의 사실적 묘사 등이 본존불과 동일한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약사불이 왼손을 위로 하고 오른손을 아래로 하여 엄지와 중지를 맞댄 채 오른손 바닥에 약그릇을 들고 있는데 비해, 아미타불은 약사불과 손의 좌우가 바뀌고 약그릇이 보이지 않는 것만이 다를 뿐이다. 불상 안에서 발견된 ‘조성기’에 의하여 조선 인조 17년(1639)에 수연(守衍)비구를 비롯한 7명의 화원(畵員)들이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석가모니불이 앉아 있는 대좌형 수미단(須彌壇)은 고려시대 심원사(心源寺) 대웅전 불탁(佛卓)과 그 장엄수법이 동일한 것으로, 금강저(金剛杵)·삽화병(揷花甁)·목단(牧丹)·운파(雲波) 등 안상(眼象) 조각에서 고려시대 불탁의 특징을 살필 수 있다. 이 수미단의 기초는 좌우 일반형 탁자와 달리 대웅전 마루 저면 약 30㎝ 지점의 초기 평면과 동일하며, 그곳에서부터 육각의 저대석이 탁자를 지탱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성시기는 대웅전 건립연대(1308)와 같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함께 수미단은 유일하게 대좌형 수미단을 육각과 장방형으로 각기 구성하고 있어 공예사적으로 귀중한 자료가 된다. 불상 안에서 나온 복장유물은 전적류·후령통(喉鈴筒) 및 오색실·복식 등이 있다. 전적류는 발원문을 비롯하여 『묘법연화경』·『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불설관세음경』 등의 경전과 진언문 및 다라니로서 17세기 초반에 간행된 목판본이 주를 이루고 있다. 후령통 안에는 각각 오방(五方)을 상징하는 5색의 사각형 직물 안에 원형, 금강저, 삼족(三足)과 육족(六足)의 번(幡)을 의미하는 형태의 직물이 들어 있었다. 오색실은 동·서·남·북·중앙을 상징하는 청색·흰색·홍색·자주색·황색의 실이다. 복식은 조선 중기 포(袍)에서 두루마기의 형태를 따르고 있으며 모든 직물의 색상이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어서 조선 중기 직물사 및 염색에 관한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수덕사의 중흥조(中興祖)인 만공(滿空)선사께서 전라북도 남원 소재 만행산 ‘귀정사(歸淨寺)’로부터 이운 봉안했다고 하는 불상으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약사불(藥師佛)·아미타불(阿彌陀佛)이 한 조를 이루는 삼세불상이다. · 석가모니불상(본존불(本尊佛) ; 중앙(中央)) ― 삼세불 중 주존으로 왼손을 무릎 위에 두고 오른손을 무릎 아래로 뻗어 내려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고 있고 상체와 머리를 앞으로 약간 숙여 굽어보는 듯한 자세에 넓게 벌어진 당당한 어깨와 넓은 무릎을 하여 건장하면서도 안정감이 있다. 육계(肉계)의 구분이 불분명한 머리에는 중앙계주(中央계珠)와 정상계주(頂上계珠)가 마련되어 있으며, 각이 진 네모꼴의 얼굴은 다소곳이 내려뜬 눈과 오똑한 코, 인중이 뚜렷한 입을 하여 다소 근엄함이 엿보이긴 하지만 엷게 번져나는 입가의 미소로 근엄함 속에 부드러움이 느껴진다. 귀는 어깨에 닿을 듯 길다랗고 목에는 삼도(三道)가 선명하다. 법의(法衣)는 양어깨를 다 덮는 통견(通肩) 형식으로 왼 어깨를 덮어 내린 옷자락은 오른 무릎 아래로 흘러내리고, 오른 어깨를 덮고 있는 옷자락은 팔이 드러나도록 팔꿈치 아래를 돌아 왼쪽 겨드랑이로 흘러 17세기 불상들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조성기’ 내용 중의 ‘숭정십이년세차기묘추동양절중만행산풍국사대웅전석가존상신조성(崇禎十二年歲次己卯秋冬兩節中萬行山豊國寺大雄殿釋迦尊像新造成)……화원(畵員) 수연비구(守衍比丘) 영철비구(영澈比丘) 성민비구(省敏比丘) 사인비구(思忍比丘) 신관비구(信寬比丘) 명혜비구(明惠比丘) 인종비구(印宗比丘)……’라는 내용으로 보아, 이 상은 1639년 만행산 풍국사 대웅전의 석가존상이었으며 수연비구를 비롯한 7명의 화원들에 의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약사불상(좌보처불(左輔處佛) ; 향우(向右)) ― 좌보처불로 굽어보는 듯한 자세라든가 육계의 구분이 불분명한 머리와 중앙·정상계주의 표현, 네모꼴의 각진 얼굴과 단정한 눈·코·입, 길다란 귀, 뚜렷한 목의 삼도, 당당한 어깨와 넓은 무릎, 간단하면서도 선의 흐름이 활달한 옷주름 등이 본존불과 거의 동일하여 한 솜씨임을 알 수 있다. 손은 왼손을 위로 하고 오른손을 아래로 하여 엄지와 중지를 맞댄 모습으로 아미타인(阿彌陀印)의 반대 모양을 이루었으며, 오른손 바닥에는 약그릇(약기(藥器))을 묘사하였다. 법의는 양어깨를 모두 덮고 있는 통견의로 주름이 간단하며, 대의 깃이 넓게 벌어진 가슴에는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내의가 보이는데 본존불과 달리 상단에 주름을 표현하지 않아 다소 경직되어 보인다. 그러나 옷주름 선은 두 손과 더불어 사실적이고도 자연스럽게 표현되었다. 이 상 또한 ‘조성기’가 발견되어 석가모니불과 같은 절의 대웅전 약사존상이고, 처음부터 삼세불상으로 조성하였음이 짐작된다. · 아미타불상(우보처불(右輔處佛) ; 향좌(向左)) ― 삼불상 가운데 가장 작은 상으로 약사불과 손의 좌우가 바뀌고 약그릇만 보이지 않을 뿐 신체를 비롯하여 머리와 얼굴형태 및 이목구비, 옷주름과 양 손의 사실적 표현 등에 있어서는 동일함을 보여준다. 특히 머리와 얼굴 및 이목구비, 손의 묘사에 있어 삼불상이 모두 같은 격과 솜씨와 양식적 특징을 보여,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약사불과 아미타불이 한 조를 이루는 삼세불로써 동일 화원들에 의해 만들어진 상임에 틀림이 없다 하겠다. 하지만 ‘조성기’ 중의 ‘……만행산풍국사보광전미타존상신조성(萬行山豊國寺普光殿彌陀尊像新造成)……’이라는 내용을 보면, 그 연유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대웅전이 아닌 ‘보광전’ 미타존상으로 조성 봉안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복장유물은 전적류와 복식 등이 있다. 전적류는 발원문을 비롯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불설관세음경(佛說觀世音經) 등의 경전과 진언문 및 다라니로서 17세기 초반에 간행된 목판본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복식은 조선 중기의 포(袍)에서 두루마기의 형태를 따르고 있으며 모든 직물의 색상이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어서 조선 중기 직물사 및 염색에 관한 연구에 소중한 유물이다. 한편, 본존불이 앉아 있는 대좌형 수미단은 고려시대 심원사(心源寺) 대웅전 불탁(佛卓)과 그 장엄수법이 동일한 것으로, 금강저(金剛杵)·삽화병(揷花甁)·목단(牧丹)·운파(雲波) 등 안상(眼象) 조각에서 고려시대 불탁의 특징을 살필 수 있다. 이 육각대좌의 실체는 1308년 대웅전 건립연대와 같은 시기로 추측된다. 그 이유는 수미단의 기초가 좌우 일반형 탁자와 달리 대웅전 마루 저면 약 30cm 지점의 초기 평면과 동일하며, 그곳에서부터 육각의 저대석이 탁자를 지탱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앙의 목조 수미단은 수덕사 대웅전의 건립연대와 더불어 유일하게 대좌형 수미단을 육각과 장방형으로 각기 구성하고 있어 공예사적으로 귀중한 자료가 된다.(출처 : 문화재청)

 

 

  블러그에 관심이 없을시 갔었기에 예산 수덕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사진을 한장만 찍어 왔었지요.

 

 

 

 

사진출처 : 문화재청

불상조성발원문

 

 

연화대좌 및 육각수미단

 

 

 

후령통 및 오색실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3810000,34&fla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