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전사는 우리나라에 선종을 들여온 도의선사가 창건한 절이자 『삼국유사』를 지은 일연스님이 14세 때 출가한 절로 이름나 있다. 도의선사는 당나라의 서당지장(709∼788)에게 공부하고 귀국하여, 당시 교종불교가 절대적이었던 신라 불교에 선종을 소개하였다. ‘중국에 달마가 있었다면 신라에는 도의가 있었다’고 평가를 받는 분으로 도의선사의 법맥은 염거화상과 보조선사로 이어져 한국 불교의 주류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 절이 언제 없어졌는지 알 수 없으나 조선왕조의 폐불정책 때문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마을에는 절이 없어질 때 스님들이 절터 위에 있는 연못에 범종과 불상을 던져 수장하고 떠났다는 슬픈 전설이 전해져 온다. 발굴조사 결과, 절 이름을 알 수 있는 ‘진전(陳田)’이란 글씨를 새긴 기와조각과 연꽃무늬 수막새기와, 당초무늬 암막새기와, 물고기무늬 기와 조각들이 출토되었다. 현재 삼층석탑(국보 제122호)과 석조부도(보물 제439호)가 남아있다. 진전사터는 우리나라 불교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지닌 유적이며, 신라 불교가 교종에서 선종으로 교체되는 시기에 그 싹을 틔운 곳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출처 : 문화재청)
진전사지 도의선사탑(보물439호, http://blog.daum.net/dbsqkqh/536)은 삼층석탑이 있는데서 약700m 올라가면 전진사가 있는데 진전사 옆에 있다.
진전사지에 국보122호인 진전사지 삼층석탑이....보물439인 부도는 위쪽으로 약 700m 떨어진 진전사 옆에 있음.
진전사지 올라가는길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0520000,32&queryText=((V_KDCD=23)) <and>(((V_NO >=52)<and>(V_NO <= 52)))
'*강원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양 명주사 동종(강원도 유형문화재64호) (0) | 2011.06.10 |
---|---|
양양 김택준 가옥(강원도 유형문화재90호) (0) | 2011.06.09 |
강릉 방내리삼층석탑(강원도 유형문화재36호) (0) | 2011.06.07 |
강릉 송라사 석조약사여래좌상(강원도 유형문화재129호) (0) | 2011.06.07 |
강릉 영진리고분군(강원도 기념물42호) (0) | 2011.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