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룡은 선조 임금 때의 무장으로 호는 매헌, 본관은 진양, 시호는 충의공이다. 1562년 4월 24일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에서 출생했고, 1622년 2월 28일 61세를 일기로 통영의 진중에서 순직했다. 1581년 상주로 천거하고 1586년 무과에 급제한다. 이 때 왕명에 따라 정무수에서 정기룡으로 개명한 맹장이다. 임진왜란 때 60여 차례 왜군들과 싸워 모두 이긴 육지의 이순신이다. 이 때 나이 겨우 31세이다. 그러나 임진왜란이 끝나고 별볼일 없이 왕을 모시고 피난 간 대부분 사람들은 높은 공신이 되고 정기룡 장군과 같이 전장에서 죽을 각오로 싸운 사람들은 무시당했다.
정기룡 장군 사당인 충의사.
정기룡장군의 신도비와 정기룡장군 묘소가 있는 곳이다.
1. 충의사(http://blog.daum.net/dbsqkqh/5557)
2. 정기룡장군 신도비(경상북도 기념물13호, http://blog.daum.net/dbsqkqh/5558)
3. 정기룡장군 묘소(경상북도 기념물13호, http://blog.daum.net/dbsqkqh/5558)
4.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보물117호, http://blog.daum.net/dbsqkqh/5522
5. 전사벌왕릉(경상북도 기념물25호, http://blog.daum.net/dbsqkqh/5523)
정기룡 장군의 가족관계
증조 정철석(호조참판 추증)
조부 정의걸(호조판서 추증)
부친 정허(좌찬성 추증)
부인 강씨(강세정 딸)-진주성이 함락되자 어머니, 시누이와 함께 진주성 아래 남강에서 자결
후취 권씨(선전관 권홍계 딸)
측실 소생의 아들 정익린(무과 급제)-정하영, 정원영, 정순영, 정미영, 정우영
정득린(무과 급제)-정두영, 정진영
정덕린-정시영, 정찬영, 정은영, 정주영
정시린-정선영
문화재청에 등록된 정기룡장군과 관련된 문화재가 4가지 있다.
정기룡장군 유물((http://blog.daum.net/dbsqkqh/5557)
보물669호 5점(교서2점, 교지·신패·옥대 각1점)
경상북도 기념물13호 : 충의사, 신도비, 묘소
비지정문화재 : 매헌실기 판목 58점, 교지 19점
정기룡장군 신도비각이 보인다.
정기룡장군 신도비
정기룡 장군 묘소에 올라가는 길
맨위에 있는 정기룡 장군 모친묘.
특이하게 상석 앞부분에 얼굴 모양으로 새겨 놓았다.
가운데 있는 정기룡 장군 묘
정기룡장군 묘에서 내려다본 아들 정익린 묘
맨아래에 있는 아들 정익린 묘
조선 중기의 무신이며 곤양 정씨의 시조인 정기룡(1562∼1622) 장군의 무덤가 있는 유적이다. 정기룡은 선조 19년(1586) 무과에 급제하였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거창 등 여러 전투에서 왜군을 크게 무찔러 호남을 지켰다. 그후 토왜대장,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삼도수군통제사에 올랐다. 이 유적은 1977년 정부의 호국선현유적정화사업계획에 따라 무덤과 그 주변을 깨끗이 하고, 장군의 사당인 충렬사와 유물관을 지은 것이다. 이곳에는 송시열이 글을 짓고, 이세재가 쓴 신도비가 있다.(출처 : 문화재청)
장군 사당은 충렬사가 아니고 충의사이다.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경상-부산-대구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주 임란북천전적지(경상북도 기념물 제77호) (0) | 2019.06.28 |
---|---|
상주 상산관(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7호) (0) | 2019.06.28 |
경주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158호) (0) | 2017.02.16 |
경주 삼릉계곡선각육존불(경상북도 유형문화재21호) (0) | 2017.02.16 |
상주 전사벌왕릉(경상북도 기념물25호) (0) | 2017.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