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찾아가본 숭선군 묘.(공주 숭선군 묘(충청남도 기념물6호) (tistory.com))
공주 오룡리귀부에서 바라 본 숭선군 묘(사진 중앙 위에 있다)
주차 시설도 생겼다. 묘는 하우스와 건물 사이로 올라간다.
진입로도 새 단장되었다.
조선 16대 임금인 인조의 다섯째 아들 숭선군의 묘소이다. 군의 이름은 징(徵)이며, 시호는 효경(孝敬)이다. 인조 2년(1624) 이괄(李适)의 난으로 인조를 따라 공주(公州)로 잠시 피신한 일이 있었는데, 궁으로 돌아와서도 항상 공주를 그리워하더니 숙종 16년(1690) 세상을 떠날 때 공주에 묻어 줄 것을 유언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 왕족의 무덤은 도성(都城)에서 90리 밖으로 나갈 수 없다는 법 때문에 중단되었고 그 후 후손에 의해 다시 이곳으로 옮겨져 만들어졌다. 묘 주위에는 ㄷ자형으로 담장을 쌓았으며, 묘 앞에는 묘비와 장명등(長明燈:무덤 앞에 세우는 돌로 만든 등)이 있고 좌우에는 무인석과 문인석이 1쌍씩 세워져 있다. 봉분 아랫부분은 화강석으로 둘레석을 둘렀으며, 묘비에 쓰여진 기록을 통해 숭선군과 부인의 합장묘로 영조 42년(1766)에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출처 : 문화재청)
'*충청-대전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 이귀의 묘(충청남도 기념물 제183호) (0) | 2023.01.02 |
---|---|
연평부원군신도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9호) (0) | 2023.01.02 |
공주오룡리귀부(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1호) (0) | 2023.01.02 |
영동 송시열 유허비(충청북도 기념물 제46호) (0) | 2022.11.14 |
옥천 송시열 유허비(충청북도 기념물 제45호) (0) | 2022.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