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임신서기석(보물1411호) 임신서기석은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길쭉한 형태의 점판암제(粘板巖製)로, 한 면에 5줄 74글자의 글씨가 새겨져 있다. 비석의 첫머리에 ‘임신(壬申)’이라는 간지(干支)가 새겨져 있고, 또한 그 내용 중에 충성을 서약하는 글귀가 자주 보이고 있어 ‘임신서기명석(壬申誓記銘石)’이라 ..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3.25
경주 천마총 금제 허리띠(국보190호) 천마총에서 발견된 신라 때 허리띠(과대)이다. 천마총은 경주 고분 제155호 무덤으로 불리던 것을 1973년 발굴을 통해 금관, 팔찌 등 많은 유물과 함께 천마도가 발견되어 천마총이라 부르게 되었다. 과대란 직물로 된 띠의 표면에 사각형의 금속판을 붙인 허리띠로 길이 125㎝, 띠드리개(요..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3.25
경주 천마총 금관(국보188호) 천마총에서 발견된 신라 때 금관이다. 천마총은 경주 고분 제155호 무덤으로 불리던 것을 1973년 발굴을 통해 금관, 팔찌 등 많은 유물과 함께 천마도가 발견되어 천마총이라 부르게 되었다. 이 금관은 천마총에서 출토된 높이 32.5㎝의 전형적인 신라 금관으로 묻힌 사람이 쓴 채로 발견되..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3.25
경주 황남동 상감 유리구슬(보물634호) 천마총은 경주 황남동고분 제155호 무덤으로 1973년 발굴을 통해 금관, 팔찌 등 많은 귀중한 유품들과 함께 천마 그림이 발견되어 천마총이라 부르게 되었다. 천마총 유리잔(天馬塚 琉璃盞)은 천마총 무덤 내에서 발견되었는데, 높이 7.4㎝, 구연부 지름 7.8㎝의 크기이다. 원래 2개가 발견되..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3.25
경주 천마총 유리잔(보물620호) 천마총은 경주 황남동고분 제155호 무덤으로 1973년 발굴을 통해 금관, 팔찌 등 많은 귀중한 유품들과 함께 천마 그림이 발견되어 천마총이라 부르게 되었다. 천마총 유리잔(天馬塚 琉璃盞)은 천마총 무덤 내에서 발견되었는데, 높이 7.4㎝, 구연부 지름 7.8㎝의 크기이다. 원래 2개가 발견되..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3.25
경주 황남동 금제 드리개(보물633호) 경주 황남동 금제 드리개(慶州 皇南洞 金製垂飾)는 경주 황남동에 있는 신라 미추왕릉에서 발견된 길이 15.5㎝의 한 줄은 길고 세 줄은 짧은 금제 드리개(수식)이다. 긴 줄은 속이 빈 금 구슬에 꽃잎장식을 금실로 꼬아 연결하였고, 끝에 비취색 옥을 달았다. 작은 줄 역시 긴 줄과 같은 모..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3.25
경주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보물625호)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皇南大塚北墳 銀製冠飾)은 조익형관식 1점, 접형관식 2점으로서 총 3점이 출토 되었다. 조익형관식(鳥翼形冠飾)은 부장품수장부 북쪽에서 1개가 출토되었다. 새가 날개를 확짝펴고 나는 모습을 도안화한 冠飾으로 冠帽 앞에 꽂기 위한 것이다. 양쪽 날개와 가운..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3.25
상주 정기룡 유물(보물669호) 현재 정기룡장군의 사당인 충의사에 보관된 보물은 모두 복사품이다. 진품은 상주박물관 위탁보관하고 있다. 전에 유물이 도난 당했는데 요대는 상주에서 구입 후 상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고, 도난 당시에는 정기룡 장군이 유명하지 않아 교지 등은 팔리지 않아 도둑놈이 상주경찰서로 ..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2.16
경주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보물626호)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가 현장 안내판에는 금굽다리접시로 되어 있다.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皇南大塚北墳 金製高杯)는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무덤인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굽다리 접시(고배)이다. 황남대총은 2개의 봉분이 남·북으로 표주박 모양으..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2.05
경주 토우장식 장경호(국보195호) 우리 나라에 토우장식 장경호(국보195호)가 2점이 있는데 하나는 국립중앙박물관(http://blog.daum.net/dbsqkqh/3000)에 있고 다른 하나는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다. 현장 안내판에는 이름이 토우장식긴목항아리로 되어 있다. 문화재청에 있는 이름으로 표기 했으면 한다. 토우란 흙으로 만든 인형이..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7.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