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대흥사 천불전(보물1807호) 가허루를 통해 들어가면 천불전이 있고, 오른쪽에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93호인 대흥사 용화당(http://blog.daum.net/dbsqkqh/4312), 왼쪽에 봉향각이 있다. 대흥사 천불전은 2013. 8. 5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본인이 2013. 8. 6일에 갔으니 보물로 지정되고 그 다음 날 간 것이다. 보물로 지정되었다는.. *전라-광주/국보,보물 2013.08.31
해남 서산대사 행초 정선사가록(보물1667호) 서산대사 행초 정선사가록은 대흥사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조선중기의 고승 승병장인 서산대사 휴정(1520~1604)이 송대 선문(禪門)을 대표하는 마조(馬祖)ㆍ백장(百丈)ㆍ황벽(黃蘗)ㆍ임제(臨濟)의 법문을 초록한 서첩이다. 서첩의 표제(標題)는 “四大師語”라 쓰였고 내제(內題)는 .. *전라-광주/국보,보물 2013.08.22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보물1547호) 대흥사성보박물관 안, 유리 상자 속에 모셔져 있다. 이 상은 윤왕좌(輪王坐)의 보살상으로 금동불로는 규모가 비교적 큰 편이다. 보살상의 세부 표현과 양식은 전반적으로 고려시대의 특징을 잘 계승하고 있으나, 타원형의 양감있는 얼굴모습, 유두를 두드러지게 표현한 점, 몸 전면에 영.. *전라-광주/국보,보물 2013.08.22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유물(보물1357호) 대흥사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 의발 등 유물 일괄(전라남도 유형문화재166호, http://blog.daum.net/dbsqkqh/4269) 중에서 서산대사를 승군 대장 도총섭으로 임명한 교지와 정조가 서산대사의 충절을 기리는 내용을 친히 적은 서산대사화상당명 두 점만 보물1357호로 지.. *전라-광주/국보,보물 2013.08.22
해남 탑산사명 동종(보물88호) 해남 대흥사 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유리 속에 있어 반사광 때문에 사진이 좀... 고려 시대 만들어진 높이 79㎝, 입지름 43㎝의 종으로 신라 형식을 계승하면서 고려시대에 새로 나타난 특징들을 잘 보여준다. 종 꼭대기에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용통이 있고, 매다는 곳인 용뉴에.. *전라-광주/국보,보물 2013.08.19
장흥 천관사 삼층석탑(보물795호) 천관사는 신라 진흥왕 때 통령화상이 창건한 사찰로, 천관보살을 모셨다 하여 천관사라 하였다. 바닷가에 위치하여 왜구의 칩입을 여러차례 겪은 탓에 그 규모가 점차 축소되어 현재는 천관보살을 모셨던 법당만 남아있다. 법당에서 조금 떨어진 오른쪽에 자리잡고 있는 이 탑은 2단의 .. *전라-광주/국보,보물 2013.04.13
장흥 풍아익(보물1664호) 종 목 : 보물 제1664호 명 칭 : 풍아익 (風雅翼)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필사본/ 사본류 수량/면적 : 15권 10책 지정(등록)일 : 2010.10.25 소 재 지 전남 장흥군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 백인순 관리자(관리단체) : 백인순 이 책의 편저자 유이(劉履: 1317-1379)는 주자를 숭배하는 학자로.. *전라-광주/국보,보물 2013.04.01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보물158호) 보림사에 있는 보조선사 지선의 탑비로,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은 모습이다. 보조선사(804∼880)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로, 어려서 출가하여 불경을 공부하였으며, 흥덕왕 2년(827)에 승려가 지켜야 할 계율을 받았다. 희강왕 2년(837) 중국으로 건너갔으나, 멀리서 구할 .. *전라-광주/국보,보물 2013.03.28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보물157호) 보림사에 세워져 있는 사리탑으로, 보조선사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보조선사(804∼880)는 어려서 출가하여 불경을 공부하였으며, 흥덕왕 2년(827)에 승려가 지켜야 할 계율을 받았다. 희강왕 2년(837) 중국으로 건너갔으나 문성왕 2년(840)에 귀국하여 많은 승려들에게 선(禪)을 가르쳤다. 헌.. *전라-광주/국보,보물 2013.03.27
장흥 보림사 서 승탑(보물156호) 보림사의 서쪽에 있는 승탑 2기로, 보림사로 들어가는 입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나란히 세워져 있다. 하나는, 전체적으로 8각의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네모반듯한 바닥돌 위로 3단의 기단을 세우고 그 위에 탑신과 지붕돌을 얹은 모습이다. 기단은 아래받침돌에는 2겹의 연꽃무늬를 새.. *전라-광주/국보,보물 2013.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