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두륜산 대흥사 일원(명승66호)2 대흥사 일원 두륜산과 대흥사 뿌리가 서로 연결된 연리근 두륜산은 식생이 잘 보존되어 있어 식생경관이 뛰어나고, 도솔봉, 혈망봉, 고계봉, 가련봉 등 산봉우리가 병풍처럼 둘러져 절경을 이루며, 수많은 문화재를 간직한 대흥사와 조화를 이루고 있어 역사문화적 가치가 큰 경승지이다.. *전라-광주/명승, 사적 2013.09.07
해남 두륜산 대흥사 일원(명승66호)1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http://blog.daum.net/dbsqkqh/4315) 북미륵암에 있는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국보308호, http://blog.daum.net/dbsqkqh/4316)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동삼층석탑(전라남도 문화재자료245호, http://blog.daum.net/dbsqkqh/4318) 천년수 해남 대흥사 만일암지 오층석탑(전라남도 문화재.. *전라-광주/명승, 사적 2013.09.07
해남 대흥사(사적508호)4 2013. 5. 5일에 보물로 지정된 해남 대흥사 천불전(보물1807호, http://blog.daum.net/dbsqkqh/4313) 옆에 있는 해남 대흥사용화당(전라남도 유형문화재93호, http://blog.daum.net/dbsqkqh/4312) 왼쪽 건물이 천물전 왼쪽 건물이 용화당이고 오른쪽 건물이 가허루이다. 관음전 대흥사 성보박물관 해남 표충사(전.. *전라-광주/명승, 사적 2013.09.07
해남 대흥사(사적508호)3 대흥사는 고려 이전에 지어진 사찰로서, 임진왜란 이후 서산대사의 의발이 전수되면서 17~18세기 서산종의 종찰로 선·교 양종의 대도량역할을 한 사찰이며, 경내에는 국보 제308호 ‘대흥사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을 비롯하여 국가지정문화재 7점과 시도지정문화재 6점, 그리고 13대종사.. *전라-광주/명승, 사적 2013.09.07
해남 대흥사(사적508호)2 부도전 상월대사 새봉 부도, 초의선사 의순 부도 사진 가운데 아름다운 조각이 있는 것이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보물1347호, http://blog.daum.net/dbsqkqh/4321) 침계루(오른쪽 큰건물)와 백설당(왼쪽에 있는 건물) 북원구역 무량수각 무량수각과 백설당 해남 대흥사 대웅보전(전라남도 유형문화.. *전라-광주/명승, 사적 2013.09.07
해남 대흥사(사적508호)1 두륜산도립공원 안내도 대흥사 입구 식당가. 대흥사 문화재 구역 입장료 및 주차장 이용 안내 대흥사 일주문 해남 대흥사 진불암(http://blog.daum.net/dbsqkqh/4314). 북미륵암 가기 위해 이곳까지 자동차로 왔다. 식당에서 주인장이 북미륵암에 쉽게 가는 방법을 알려 주었다. 해남 대흥사 북미륵.. *전라-광주/명승, 사적 2013.09.07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명승59호) 해남 미황사와 달마산이 아름답게 조화를 이룬다. 날씨가 안좋아 사진이 좀.... 미황사 올라 가는 길 보물947호인 해남 미황사 대웅전(http://blog.daum.net/dbsqkqh/4326)과 달마산 보물1183호인 해남 미황사 응진당(http://blog.daum.net/dbsqkqh/4325)과 달마산. 달마산은 삼황(三黃)이라고 하는데 불상과 바.. *전라-광주/명승, 사적 2013.09.03
해남 윤선도 유적(사적432호)2 3번위치에 주차하고 5번-6번(신도비)-7번(고산묘소)-9번-8번(고산제각)을 보고 다시 주차 장소까지 오는데 약 6km에 2시간 30분쯤 소요된것 같다. 6번 위치에 있는 고산신도비이다. 그런데 모서리가 훼손되어 있다. 다시 가던방향으로 고산 묘소에 찾아 간다. 한참 가다보면 안내판도 없고 넓.. *전라-광주/명승, 사적 2013.08.28
해남 윤선도 유적(사적432호)1 일반적으로 사적432호인 해남 윤선도 유적을 '해남읍 연동리 82'에 있는 고산 윤선도 유적지{(해남윤씨 녹우당 일원(사적167호, http://blog.daum.net/dbsqkqh/4405)}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해남 윤선도 유적은 현산면 구시리에 있다. 지도에서 6 : 고산신도비, 7번 : 고산묘소, 8 : 고산제각이다. 본.. *전라-광주/명승, 사적 2013.08.28
강진 고려청자 요지(사적68호) 고려시대 토기나 청자를 굽던 가마터로, 강진 대구면 용운리·계율리·사당리·수동리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남쪽은 바다와 가까워 해로를 통한 수송이 발달했고, 북으로는 크고 작은 산과 가까워 땔감이 풍부하였다. 또한 도자기의 원료인 고령토와 규석이 산출되어 도자기를 만들기.. *전라-광주/명승, 사적 2013.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