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 원갑사(전라남도 문화재자료85호) 원갑사 가기전 한적한 시골길. 오른쪽으로 올라간다. 원적사 주차장 무언가 하고 들어가보니 우물인데 물은... 이 무량전 건물이 오래된듯 하네요. 원갑사는 영광 불갑사, 영암 도갑사와 함께 남도의 3갑사라 불린다. 통일신라 때 의상대사가 세웠다고 전하지만 지은 시기를 확실하게 알 ..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2.27
목포 오포대(전라남도 문화재자료138호) 문화재청에 목포 오포대의 주소가 '목포시 만호동 1-56'로 되어 있다. 이 주소는 목포진지의 주소이다. 오포대는 유달산에 있는데 이순신장군 동상과 대학루 사이에 있다.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답변내용) [주관부서] : 교육문화사업단 문화예술과 [답변일자] : 2014-03-06 12:37:53 [작성자] : ..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2.27
신안 흑산 진리 무심사지 삼층석탑과석등(전라남도 문화재자료193호) 신안 흑산 진리 무심사지 삼층석탑과 석등(전라남도 문화재자료193호)은 대흑산도12굽이 일주도로 올라가기전에 오른쪽에 있다. 뒤로는 신안 흑산도 상라산성(전라남도 기념물239, 반월성, http://blog.daum.net/dbsqkqh/4530)이 있다. 읍동마을 당산나무 밑에 놓여 있는 석탑과 석등으로, 주위에는 ..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2.27
무안 발산마을미륵당산(전라남도 문화재자료148호) 문화재청에 주소가 '무안군 해제면 광산리 발산마을'로 되어 있어 찾아가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당산할아버지 주소는 대략 '해제면 광산리 852'이다. 지도에서 당산할아버지의 위치는 6번이고 당산할머니는 7번 위치이다. 1-2-3-4-5순으로 가는데 도로가 좁아 조심하시기를....당산할아버지..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2.27
구 목포사범학교 본관(등록문화재239호) 구 목포사범학교 본관(등록문화재239호)은 목포대학교 목포캠퍼스에 있다. 주소는 '목포시 용해동 290'이다 목포대학교 목포캠퍼스 정문이다. 운동장 위로 보이는 건물이 '구 목포사범학교 본관'이다. 담쟁이덩굴 같은데 내가 본 것중 가장 크다. 요거이 잎이 나왔을쯤 다시 한번 가보고 싶..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2.26
무안 고절리고분(전라남도 문화재자료225호) 문화재청에 무안 고절리고분의 주소가 '무안읍 고절리 1011 외'로 되어있다. 이곳은 무안읍에서 북서쪽에 있는 교촌교차로 안이다. 찾아가는데 조심해야한다. 본인은 주민의 말만 듣고 잘못 찾아간 듯하다. 교차로 안에 돌이 많은 곳이라하여 열심히 사진을 찍어왔다. 고절리고분은 옆에 ..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2.25
해남민정기가옥(전라남도 문화재자료186호) 민정기 기옥은 백야마을인 오른쪽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보인다. 마을 입구 큰나무 뒷편에 있다. 마을 골목길로 들어서자마자 민정기 가옥이 있다. 마당에 잡풀이 우거져 있네요. 소유자 민정기의 6대조인 민정현이 순조 7년(1807)에 지었다는 집이다. 사랑채는 ‘청사정’이라는 이름으로 ..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10.09
완도 우수영전진도첩(전라남도 문화재자료163호) 사적114호인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유적의 충무사에 보관되어 있는 완도 우수영전진도첩. 진품인지 복제품인지는 모르겠다. 충무사 사진출처 : 문화재청 우수영이란 조선시대 전라도와 경상도에 설치한 수군의 진영으로, 이 전진도첩은 전라우수영의 군사 조직과 운영실태를 알 수 있는 ..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9.30
완도 신흥사목조약사여래좌상(전라남도 문화재자료213호) 완도 신흥사목조약사여래좌상은 완도 신흥사 약사전 안에 있다. 처음에는 대웅전 안에 계신 불상이 완도 신흥사목조약사여래좌상으로 착각했다. 신흥사에서 내려다본 천연기념물28호인 완도 주도 상록수림(http://blog.daum.net/dbsqkqh/4324) 완도군 완도읍 군내리 신흥사에 모셔진 약사여래좌..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9.30
완도객사(전라남도 문화재자료109호) 완도객사를 청해관, 완도가리포진객사로 되어 있네요. 완도객사 뒷편에 있는완도 보호수인 퓨조나무. 오른쪽에 있는 건물이 완도군립도서관이다. 객사는 출장간 관리, 외국 사신 등이 숙소로 쓰거나 임금께 예를 올리던 곳이다. 완도객사는 조선 경종 2년(1722) 가리포진에서 첨사라는 벼..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