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향교대성전(전라남도 문화재자료77호) 530년된 비자나무 보호수가 해남향교 뒷산에 있다.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해남향교를 처음 지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로 보인다. 조선 성종 13년(1482)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지었으며 이후 ..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8.25
해남 영산사소장문서일괄(전라남도 문화재자료159호) 문화재청에 영산사의 주소가 '마산면 화내리 산81'로 되어 있는데 오히려 '마산면 화내리 421-1'가 찾아가기가 좋을 듯합니다. 근처에 안내판이 있어 어렵지는 않아요. 입구에 사나운 개 두마리가 있는데 긴 빨래줄 처럼 줄이있고 그 줄에 목줄이 매인 개가 왔다 갔다하며 지키고 있네요. 영..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8.25
해남방춘정(전라북도 문화재자료209호) 전남 영암군 미산면소재지에서 819번 도로를 타고 해남군 옥천면소재지쪽으로 가다봄면 왼쪽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있다. 왼쪽길로 간다. 다리건너 방춘정이 보인다. 건물구조가 특이하다. 방춘정은 순천 김씨가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를 가르치던 정자이다. 건물 내부에서 발견된 기록에 ..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8.18
장흥 회령진성(전라남도 문화재자료144호) 장흥군 회진면 회진리 마을의 뒷산을 이용하여 쌓은 부정형 성으로. 현재는 육지에 이어진 덕도와 노력도, 대마도 등의 섬들로 둘러싸여 있다. 회령진성은 성종 21년(1490) 4월에 쌓은 만호진 성으로 남해에 출몰하는 왜구를 소탕하는 수군진이었다. 회령진이 처음 설치된 시기는 정확히 알..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4.14
장흥 탑산사지금동여래입상(전라남도 문화재자료270호) 장흥 탑산사지금동여래입상은 대좌부분이 떨어져나갔지만 불신과 대좌가 같은 개체임이 금속성분 분석 결과 확인된 것이다. 불상의 외모상에서 나타난 양식의 특징 또한 7세기경 삼국시대의 전통적인 양식을 계승한 것으로 계란형의 얼굴과 사발형의 육계, 행인형의 눈두덩, 길게 내려..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4.14
강진 여택정(전라남도 문화재자료269호) 강진 여택정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2층 누각 형식으로 되어있는데 평면과 구조는 이 지역의 정자와 다른 독특한 모습으로 되어있다. 중앙 2칸은 모두가 수납공간(광)으로 꾸며져 있고 양측은 완전히 분리된 별도의 누마루로 구성되어 있고 누마루 3면은 모두 벽체 구성없이 열려있다. 양..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4.14
장흥 방촌리석장승(전라남도 문화재자료33호) 장흥 관산읍에서 방촌으로 넘어드는 마을 입구에 동서로 서 있는 남녀 한쌍의 돌장승으로, 마을의 잡귀와 액운의 출입을 막는 수호신으로서의 구실을 하고 있다. 서쪽에 있는 장승은 ‘진서대장군’이라는 기록이 있는 남장승으로 ‘벅수’라 불리고, 동쪽에 있는 장승은 여장승으로, ..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4.12
장흥 묵촌리의 동백림(전라남도 문화재자료248호)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innaeus)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소교목으로 수고가 8m, 가슴높이 둘레 1.5m에 이르며, 중국·일본 그리고 우리 나라의 제주도·울릉도·남해 다도해 섬지방·남부해안지방·서해 도서지방에 자생한다. ‘만다라화(曼茶羅花)’라고도 한다. 이곳은 행정상 용..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4.10
장흥 영석재(전라남도 문화재자료69호) 청강 이승(1556∼1628)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세운 건물로, 약 300여년 전 인천 이씨 후손들이 주체가 되어 지금 있는 자리에 세운 것으로 전한다. 건물은 강당, 사당, 내삼문, 문간채, 관리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석재’라고 부르는 강당은 중앙에 있으며 사당은 별도로 담에 둘러..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4.10
장흥 월산재(전라남도 문화재자료73호) 월산재는 영광 김씨들이 중심이 되어 후손들의 교육과 인재양성을 위해 조선 순조 4년(1824)에 지은 건물이다. 사당인 용강자, 강당인 월산재, 내삼문, 외삼문, 관리사, 창고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적인 모습은 가장 윗부분에 용강사가 있고 아래로 월산재가 있으며 월산재 앞으로 관..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