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평 구 학다리역 급수탑(국가등록문화재) 급수탑 주변에 무료 주차장이 있다. 1921년 건립된 이 시설물은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건립된 급수탑이다. 급수 시설로서 34년 동안 철도 운송에 큰 역할을 했으나, 점차 디젤기관차로 대체되면서 1955년에 급수탑의 기능을 잃은 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전국적으로 보기 드문 석조 원형탑으로 왼쪽과 오른쪽의 모양이 같게 구성되었다. 근대화 과정에서 교통사적 요충지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철도 시설물로서 가치가 높다.(출처 : 문화재청)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22.06.15
함평 월호리 일본식 가옥과 창고(국가등록문화재) 함평답사를 계획하면서 가장 어렵게 생각한 문화재이다. 그러나 주인 어른이 대문을 장그는 순간 도착하여 관람을 요청하니 흔쾌히 안내해 주었다. 이곳에 주거하지는 않고 마당에 모(벼)를 키우고 있어 물주고 가던 참이란다. 등록문화재 118호 외쪽이 일본식 가옥이고 오른쪽이 창고이다. 벽면 함석은 예전 것이고 지붕은 다시 개량한 것이란다. 출입문을 열어 구경하게 하였다. 깨끗하게 정리되었다. 주인의 허락하에 에 집에 들어가 보았다. 2층에 올라 가는 계단이다. 다다미는 얼마전에 일본에서 공수해 왔단다. 가옥 1927년, 창고 1930년 건립 이 건물들은 일제 강점기 영산강 중천포 나루터 근처에 지은 일본인 지주의 집과 창고이다. 곡물 수송에 아주 편리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창고의 기능이 강조되었으며, 지금도..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22.06.14
무안 식영정(전라남도 문화재자료237호) 식영정은 영산강을 내려다볼 수 있는 언덕 위에 있다. 식영정 유래 우측으로 간다. 멀리 나무 숲에 있다. 오른쪽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있다. 오른쪽 좁은 길로 간다. 식영정은 한호(閑好) 임연(1589∼1648)선생이 1630년에 무안에 입향 이후 강학소요처로 지은 정자로 영산강[이호(梨湖)]과 그 ..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4.07
무안 목우암삼존불(전라남도 문화재자료172호) 무안군 몽탄면 달산리 목우암(전라남도 문화재자료82호, http://blog.daum.net/dbsqkqh/4598)의 ㄷ자형 법당 안에 모셔진 삼존불.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달산리 목우암의 ㄷ자형 법당 안에 모셔진 삼존불(三尊佛)로, 양 옆에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협시로 서 있어 본존불이 아미타불임을 알 ..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4.07
무안 법천사.목우암(전라남도 문화재자료82호) 무안 법천사석장승(전라남도 민속문화재24호, http://blog.daum.net/dbsqkqh/4589)에서 조금 올라가면 삼거리가 나온다. 법천사는 왼쪽으로 가고 목우암은 오른쪽으로 간다. 요쯤에 주차하고 걸어가시기를... 문화재청에 '조선 후기에 만든 부도 5기가 있다.'라고 되어 있는데 4기가 아닌지... 문화재..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4.07
무안 화설당(전라남도 문화재자료271호) 화설당은 무안 청천리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숲(천연기념물82호, http://blog.daum.net/dbsqkqh/4585)을 지나 목포쪽으로 조금만 가면 오른쪽에 있다. 오른쪽에 화설당마을이라는 안내판이 보인다. 화설당회관이다. 무안 화설당은 오른쪽에 있다. 마침 바닥 공사 중이다. 연못이 있는데 물이... 무안 ..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3.28
신안 흑산도 사리마을 옛 담장(등록문화재282호) 흑산초등학교 흑산서분교 바람이 많은 도서지방의 환경에 맞게 강담구조로, 담을 쌓으면서 안팎의 담벼락을 약간씩 퇴물려 쌓아 견고한 느낌을 준다. 굽어진 마을 안길과 함께 비슷한 높이로 축조된 담장은 가옥형태와도 조화를 이룬다.(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3.16
신안 흑산 진리 지석묘군(전라남도 문화재자료194호) 신안 흑산 진리 지석묘군은 신안흑산중학교 입구에서 동쪽으로 130여m 가면 왼쪽에 있다. 흑산도에 있는 유일한 지석묘.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3.15
목포 구 청년회관(등록문화재43호, 남교소극장) 정면으로 보이는 건물이 구 신안군청 건물이다. 신안군청은 신안군 압해도에 신청사가 있다. 청사 앞 건물에서 좌측으로 조금 내려가면 남교소극장이 나온다. 이 건물이 목포 구 청년회관이다. 석조건물이다. 1925년 건립된 이 건물은 일제 강점기 목포 청년들의 항일 운동 근거지였으며, ..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3.15
목포 양동교회(등록문화재114호) 양동교회를 찾아가다 바라본 유달산 아파트 옆으로 교회가 보인다. 여기가 교회 진입로인줄 알았다. 아파트 진입로이다. 보아하니 진입로는 다른곳에 있다. 경사길을 내려와 우회전하니 진입로가 있다. 높은 곳에 양동교회라고 씌여있다. 석조건물이다. 왼편으로 돌아가니 출입문 위에 .. *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