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삼양동 유적(사적416호) 제주 삼양동 유적은 제주시 삼양동 일대의 토지구획정리사업이 진행되던 당시에 발견된 선사시대 유적이다. 1997년 4월부터 1999년 7월에 걸쳐 제주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청동기-초기철기시대를 전후한 시기의 집터 200여 곳을 비롯하여 돌을 쌓아 만든 담장, 쓰레기를.. *제주/사적, 명승 2013.05.22
제주 도련지석묘2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9호)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과, 땅속에 무덤방을 만들고 작..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2
제주 도련지석묘1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8호)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과, 땅속에 무덤방을 만들고 작..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2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천연기념물523호)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0호인 제주 도련귤나무(http://blog.daum.net/dbsqkqh/4062)는 천연기념물로 승격되었답니다. 본인은 다른 나무들인 줄 알고 있었는데.... 4종류 6그루라 했는데 주변이 풀숲이고 밭이라 몇 그루만 사진촬영하였다. 삼국시대 이전부터 제주에서 재배되어 온 제주 귤의 원형을.. *제주/천연기념물 2013.05.22
제주 도련귤나무(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0호) 제주도에서는 가을에 감귤이 노랗게 익는 경치를 ‘귤림추색’이라 하여 제주도에서 제일 경치가 좋다는 영주십경의 하나로 꼽는다. 귤나무는 제주도를 중심으로 경상남도, 전라남도의 따뜻한 해안 지대에서 재배되고 있다. 사시사철 푸른 상록수이며, 잎은 피침형으로 서로 어긋나게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2
제주 불탑사 불탑사 자리는 고려 충렬왕 26년 세운 원당사터이다. 원당사는 조선 중기에 없어지고 석탑만 남아있다가 불탑사라는 이름으로 다시 중건하였다. 불탑사 도로 건너에 원당사(http://blog.daum.net/dbsqkqh/4059)가 있다. 보물118호인 제주 불탑사 오층석탑은 아치 문을 지나면 있다. *제주/기타 2013.05.22
제주 불탑사 오층석탑(보물1187호) 원당사의 옛 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이다. 원당사는 조선 중기에 폐지되었고, 1950년대 이후 절터에 새로이 지어진 불탑사가 대신 자리잡고 있다. 탑은 1단의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두고,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 모습이다. 탑 주변에는 돌담이 둘려져 있다. 기단은 뒷면을 .. *제주/보물 2013.05.22
제주 원당사 제주 원당사는 보물1187호인 제주 불탑사 오층석탑(http://blog.daum.net/dbsqkqh/4060)이 있는 불탑사(http://blog.daum.net/dbsqkqh/4061)와 도로 하나 사이에 있다. 풍수지리는 잘 모르지만 근거리에 불탑사, 문강사, 원당사가 있으니 좋은 지역이 아닌가 한다. 원당봉입구에서 180여m를 가면 갈림길이 나온.. *제주/기타 2013.05.22
제주 조천연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3-5호) 연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정치·군사적으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통신수단을 말한다. 봉수대와는 기능면에서 차이가 없으나 연대는 주로 구릉이나 해변지역에 설치되었고 봉수대는 산 정상에 설치하여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횃불을 피워 신호를 보냈다. 조천 연대는 동쪽으로 왜..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1
제주 연북정(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3호) 바닷가 평지에 자리잡고 있는 정자로 조선 선조 23년(1590)에 조천관 건물을 새로 지은 후 쌍벽정이라 하였다가 선조 32년(1599)에 건물을 보수하고 이름을 연북정으로 고쳤다. ‘연북’이라는 정자의 이름은 제주도로 유배 온 사람들이 한양의 기쁜 소식을 기다리면서 북쪽에 계시는 임금을..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