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록강 유람선2 북한 병사들이 일하고 있다. 쉬고있는 병사 북한 해군기지 멀리 보이는 산이 중국의 호산장성. 앞에 섬은 북한 땅 북한 병사가 나무 밑에서 쉬고 있다. *중국/단동,백두산,집안 2013.08.26
압록강 유람선1 압록강 유람선 타는 곳. 천지와 장백폭포에 못간 당근으로 유람선을 탓다. 강에 있는 섬은 북한 땅이고 강은 중국과 북한의 공동 구역이라 다닐 수 있단다. 북한 땅 사이에 있는 압록강을 유람했다. 압록강 유람선 선착장 멀리 보이는 곳이 북한 땅 북한 초소가 보이고, 보이는 땅들은 북.. *중국/단동,백두산,집안 2013.08.26
장수왕릉 우리의 금자탑 장수왕릉. 우리의 피라미드. 이런 나뿐X들. 고구려가 중국의 북방 소수민족이라니. 입장료. 지석묘가 아니고 호위병을 묻었던 곳이라는데 원래는 동서남북 네곳에 있었는데 지금은 하나 남았단다. *중국/단동,백두산,집안 2013.08.23
장백폭포1 비가 많이 와서 장백폭포도 멀리서 구경했고, 더욱 안타까웠던 것은 천지에 못가본 것이다. 천지를 보려면 3대가 덕을 쌓아야 한다는데....천지를 서파 코스로 가면 조금은 걸어 가지만 볼것이 많고, 북파는 천지까지 짚차로 간다. 우리처럼 짚차 비용 등 모든 입장료를 내고 천지도 못가.. *중국/단동,백두산,집안 2013.08.23
집안에서 바라본 북한 만포마을 보이는 산이 북한 땅, 앞에는 압록강이 흐르고 있다. 압록강변 줄국땅. 북한의 만포 마을이 보인다. 보이는 섬도 북한 땅 압록강변의 중국 비가 많이와서 강변 시설이 훼손되었다. *중국/단동,백두산,집안 2013.08.15
압록강 단교2 압록강 단교 위를 걸어서 끊어진 곳까지 갔다옴. 바로 옆에 있는 새로 놓은 철교. 배가 지나 다닐때 교각 상판 절반이 양쪽으로 회전하기 위한 장치. 저멀리 북한땅이 보인다. 다리가 끊어져 더 이상 갈 수가 없다. 중국과 북한 사이 국경 *중국/단동,백두산,집안 2013.08.03
압록강 단교1 저멀리 압록강 철교가 보인다. 철교 아래 한국전쟁 당시 미군에 의해 다리의 절반인 북한쪽만 없어 졌다. 이 단교에서 상류로 1km쯤 올라 가면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가 회군한 위화도가 있다는데 아마 보이는 섬이 아닌가 생각된다. 새로 놓은 압록강 철교. 중국에서 기차로 평양으로 가기.. *중국/단동,백두산,집안 2013.08.03
고구려의 두번째 수도 국내성 성벽 424년간 고구려의 수도였던 국내성 성벽이 남아있는 곳. 이 강은 압록강이 아니고 지류이다. 건너편도 역시 중국땅이다. *중국/단동,백두산,집안 2013.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