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화성(사적3호, 북서적대) 적대는 성을 공격하는 적을 방어하기 위해 성문 좌우 옆에 있는 치성 위에 세운 시설이다. 4대문 중 장안문과 팔달문 양쪽에만 있다. 장안문 서쪽에 있는 북서적대의 높이는 성벽과 같다. 11번이 장안문이고 12번이 북서적대이다. 장안문에서 바라본 북서적대의 안내판. 북서적대 안에 있..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11.22
수원 화성(사적3호, 장안문) 장안문은 화성의 4대문 중에 북쪽문으로 수원화성의 정문이다. 수원에서는 흔히 북문으로 통한다. 장안이라는 말은 수도를 상징하며 백성의 안녕을 의미한다. 성문 바깥에는 반달모양의 옹성을 쌓았는데 이것은 항아리를 반으로 쪼갠것과 같다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성문을 보호하는 ..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11.22
수원 화성(사적3호, 북동적대) 적대는 성문을 공격하는 적을 방어하기 위해 성문 좌우 옆에 있는 치성 위에 세운 시설이다. 4대문 중 장안문과 팔달문 양쪽에만 있다. 지도에서 10번 위치이다. 정면에 벽돌로 쌓은 곳이 북동적대이다. 오른쪽은 북동치이다. 북동적대 안에는 홍이포가 있다. 다음은 북문인 수원 장안문(ht..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11.22
수원 화성(사적3호, 북동치) 북동치는 북동적대와 붙어있다. 왼쪽 벽돌로 쌓은 곳이 북동적대이다. 치란 일정한 거리마다 성곽에서 바깥으로 튀어나오게 만들어 성벽 가까이에 접근하는 적군을 공격하도록 되어 있다. 화성에는 10개의 치가 있다. 북동치는 지도에서 9번위치이다. 10번이 북동적대, 11번이 흔히 말하는..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11.19
수원 화성(사적3호, 북동포루) 성벽의 일부를 바깥으로 튀어나오게 만든 치성이 발전된 형태. 화성의 5개포루 중 장안문화 화홍문 사이에 있다. 지도에서 8번위치이다. 북동포루와 장안문이 보인다. 뒤로 화홍문 지붕과 방화수류정 사이에 보물14호인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이 보인다. 마치 건물이 반쪽 같다. 장..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11.19
수원 화성(사적3호, 화홍문) 화성을 가로질러 흐르는 수원천에는 북수문과 남수문이 있다. 남수문은 최근에 복원하였다. 북수문은 화홍문으로 더 알려져있다. 화홍문은 지도에서 7번 위치이다. 방화수류정과 화홍문 방화수류정에서 내려다본 화홍문 화홍문과 방화수류정 화홍문 앞에서 바라본 방화수류정 수원천의..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11.19
수원 화성(사적3호, 북암문) 북암문은 동북포루와 방화수류정 사이에 있다. 방화수류정과 가깝다. 지도에서 5번 위치이다. 암문은 성곽의 후미지고 깊속한 곳에 위치하며 사람과 동물 등 통과하며 군수 물자를 적군 모르게 나르던 곳이다. 화성에는 5개의 암문이 있는데 화성에서 유일하게 벽돌로 좌우성벽을 쌓았다..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11.12
수원 화성(사적3호, 동북포루) 포루는 성벽 일부를 바깥으로 튀어 나오게 만든 치성위에 지은 목조건물로 군사들이 망을 보면서 대기하는 곳이다. 화성에는 5개의 포루가 있다. 지도에서 4번 위치이다. 동암문을 지나 오르막길. 동북포루에서 뒤돌아본 모습. 멀리 연무대와 동북공심돈이 보인다. 소나무 숲 사이에 보이..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11.12
수원 화성(사적3호, 동암문) 암문은 성곽의 후미지고 깊숙한 곳에 적이 알지 못하도록 만든 출입구이다. 화성에는 5개의 암문이 있다. 사람이나 가축이 통과하고 군수물자를 나르던 곳이다. 동암문은 지도에서 3번 위치이며 연무초등학교 뒷편에 있다. 사적3호 동암문 동암문으로 나가는 계단이 있다. 멀리 동북포루..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