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화성(사적3호, 동장대) 화성은 정조대왕13년인 1789년 10월7일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묘를 지금의 화성시 태안읍 안녕리에 있는 화산으로 옮기고 그곳에 있던 관아와 민가를 지금의 수원 팔달산 동쪽기슭으로 옮겼다. 이후 1793년 수원도후부가 화성유수부로 승격되고 1794년 1월부터 1796년 9월까지 축조되었다. 규모..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11.08
광주 남한산성(사적57호)2 수어장대 근처에 있는 것인데 무슨 용도였는지 모르겠다. 흰색의 꽃이 피어 있네요. 남한산성 행궁 근처에 있는 남한산성 종각의 천흥사 동종 복제품. 침괘정 바로 앞에 있다. 광주 남한산성에는 볼거리가 많다. 광주 장경사(경기도 문화재자료15호, http://blog.daum.net/dbsqkqh/4203) 광주 망월사..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7.14
광주 남한산성(사적57호)1 남한산성 동문 남한산성 주차요금. 비밀통로인 암문. 수어장대 근처에 있다. 북한산성과 함께 수도 한양을 지키던 조선시대의 산성이다. 신라 문무왕 13년(673)에 한산주에 주장성晝長城(일명 일장성日長城)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현재의 남한산성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의 기록은 없..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7.14
광주 남한산성 국청사 남한산성에서 아랫쪽으로 조금만 가면 있다. 사적57호는 아니겠지만 남한산성 안에 있고 인조와 관련이 있어 남한산성과 연관하여 올렸다. 조선 인조3년(1625년) 각성대사에 의해 창건되었다. 남한산 국청사 연역. 광주 남한산성에는 볼거리가 많다. 광주 장경사(경기도 문화재자료15호, htt..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7.14
광주 남한산성 비석군 사적57호는 아니지만 남한산성 안에 있어 남한산성과 연관하여 올렸다. 안내판에 처음 줄에는 39여기의 비석이 있다고 했는데 셋째줄과 마지막 줄에는 30기의 비석이 있다 라고 되어 있네요???? 답변 : 1. 평소 도정에 관심을 가져주신데 대하여 깊은 감사를 드리며 귀하의 가정에 건강과 행..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7.14
광주 남한산성(사적57호, 영춘정) 남한산성 안에 있다. 남한산성 남문에서 시계방향으로 700여m를 가다보면 수어장대에 가기전 오른쪽에 있다. 남문에서 오르막 길이다. 광주 남한산성에는 볼거리가 많다. 광주 장경사(경기도 문화재자료15호, http://blog.daum.net/dbsqkqh/4203) 광주 망월사지(경기도 기념물111호, http://blog.daum.net/db..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7.14
광주 남한산성(사적57호, 동문) 남한산성 동문은 중부면사무소에서 342번 도로를 타고 남한산성쪽으로 가다보면 있다. 광주 남한산성에는 볼거리가 많다. 광주 장경사(경기도 문화재자료15호, http://blog.daum.net/dbsqkqh/4203) 광주 망월사지(경기도 기념물111호, http://blog.daum.net/dbsqkqh/4204) 광주 지수당(경기도 문화재자료14호, ht..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7.14
광주 남한산성(사적57호, 서문) 남한산성 서문은 우익문이라 한다. 현장 안내판에 서문은 산성의 북동쪽에 있다고 되어 있는데 북서쪽에 있습니다.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답변 : 1. 평소 도정에 관심을 가져주신데 대하여 깊은 감사를 드리며 귀하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2. 귀하의 온라인 상담..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7.14
광주 남한산성(사적57호, 북문) 북문은 전승문이라 한다. 남한산성을 남문-서문-북문으로 가는 중이다. 어디로 가던지 북문으로 간다. 오른쪽이 길은 좋다. 북문을 지나 내려오다 되돌아 본 모습. 광주 남한산성에는 볼거리가 많다. 광주 장경사(경기도 문화재자료15호, http://blog.daum.net/dbsqkqh/4203) 광주 망월사지(경기도 ..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7.14
광주 남한산성(사적57호, 남문) 남한산성 4대문 중 가장 크고 웅장한 문이다. 지화문이라 한다. 인조가 병자호란 때 이 문을 통해 들어 왔다. 북한산성과 함께 수도 한양을 지키던 조선시대의 산성이다. 신라 문무왕 13년(673)에 한산주에 주장성晝長城(일명 일장성日長城)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현재의 남한산성으로..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