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남한산성 행궁(사적480호) 남한산성 행궁의 매표소는 좀 떨어져 있다. 초가집이 매표소이다. 자동차는 남한산성 행궁 동남쪽에 있는 주차장에 주차하고 걸어 가야한다. 매표소는 주차장에서 북쪽방향인 침괘정쪽으로 가면 있다. 입장료는 일반 : 2,000원, 일반단체 : 1,600원 청소년 : 1,000원, 청소년 단체 : 800원이다. ..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7.14
연천 호로고루(사적467호) 연천 경순왕릉 가다보면 호로고루성은 왼쪽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있다. 연천 경순왕릉 갔다오다가 바라본 호로고루성. 우회전한다. 연천 호로고루 주차장. 주차장에서 바라본 연천 호로고루 주차 후 걸어서 간다. 연천 호로고루에서 뒤돌아본 것인데 누군지 모르지만 자동차를 여기까지..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7.02
연천 숭의전지(사적223호) 숭의전지는 경순왕릉가는 방향으로 있다. 숭의전지 주차장이다. 옆에는 더 큰 주차장이 있다. 농산물판매장 지나 우회전한다. 오른쪽길로 올라 간다. 재실인 앙암재라는 이름은 앙암사에서 나왔다. 앙암사는 원래 고려 태조인 왕건의 원찰이었다. 1392년 조선이 개국하면서 개경에 있던 ..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6.30
연천 당포성(사적468호) 등록문화재408호인 유엔군화장장(http://blog.daum.net/dbsqkqh/4173) 가기전 오른쪽에 당포성 가는 안내판이 있다. 직전에 주차하고 걸어서 간다. 조선시대 각종 지리지에 당포성에 대한 기록은 전혀 없으나 허목의 『기언별집(記言別集)』에 “마전 앞의 언덕 강벽 위에 옛 진루가 있었는데 그 위..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6.27
연천 경순왕릉(사적244호) 신라왕릉 중에서 유일하게 경주지역를 벗어나 있는 능이다. 신라 경순왕릉이 연천 경순왕릉으로 명칭 변경되었으면 현장 안내판도 변경되어야 하지 않나요? 신라 마지막왕인 경순왕릉은 곳곳에 안내판이 있어 찾아가기가 쉽다. 오전 9시~오후6시까지 개방한다. 지금은 민통선 밖에 있어 ..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6.25
연천 전곡리 유적(사적268호) 연천 전곡리 유적(사적268호) 표시판이 있다. 전곡읍내에서 3번 도로를 타고 남진하면 한탄강 건너기 전 우측에 있다. 전곡선사박물관이다. 움막 같은 곳이 화장실이다. 한탄강변에 있는 구석기시대 유적이다. 한탄강·임진강 줄기를 따라 구석기시대 유적이 많이 있는데, 그 가운데 전곡..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6.25
연천 은대리성(사적469호) 연천 은대리성(사적469호)은 연천보건의료원 뒷편에 있다. 연천 은대리성 입구를 잘 몰라 지나쳐 되돌아본 모습. 오른쪽 나무 숲이 은대리성이다. 연천 은대리성에서 바라본 연천보건의료원 연천은대리성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1995년도에 발간된 『연천군사료집』에 의해..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6.23
광주 조선백자 요지(사적314호) 광주 조선백자 요지(사적314호) 의 주소는 대략 중부면 오전리 270-3네요. 광주 조선백자 요지는 여러곳이 있습니다. 이 요지는 남한산성에서 342도로를 타고 광주쪽으로 가다보면 있다. 이 표지판은 풀숲에 누워있네요. 백자(朝鮮白瓷)의 제작지가 있으며, 분원(分院)이 15세기후반(世紀後半..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6.20
광주 조선백자 요지(사적314호) 남종면 분원리 117-5번지에 있는 광주 조선백자요지이다. 남종면 분원초등학교 교문 앞에 있다. 남종면소재지에서 342도로를 타고 직진하라는 안내판이 보인다. 우측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있다. 남종면 분원초등학교 방향이다. 도로가에 분원백자자료관이 있다. 여기서 도로만 건너면 분..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6.19
광주 조선백자 요지(사적314호) 광주 조선백자 요지(사적314호)중 광주시 중부면 상번천리 522-2에 있는 사적314호이다. 경기 광주TG 바로 남측에 있는 길로 조금만 가면 왼쪽에 있다. 도요지는 그릇이나 자기를 만들어 굽던 가마터를 말한다. 남종면·중부면·퇴촌면 등 광주시 일대에는 도자기를 굽는데 필요한 흙이 나오..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