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조선백자 요지(사적314호) 정지리에 있는 광주 조선백자 요지(사적314호)이다. 관리가 다소 실망감이 있네요.안내판이 찔레에 가려 겨우 사진 촬영했어요. 안내판이 있는 위치는 대략 정지리185번지입니다. 정지리에 있는 광주 조선백자 요지(사적314호)이다. 다음지도에 좀더 안쪽에 표시되어 있어 주민에게 물어보..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6.18
포천 한탄강 멍우리 협곡(명승94호) 포천 한탄강 멍우리 협곡을 찾아 가는데 애를 먹었고 주소도 문화재청에 '포천시 관인면 574-1번지'로 되어 있다. 사전에 인터넷 검색으로 생각한 곳이 '관인면 중리 594-2로 생각하고 찾아 갔다. 포천 한탄강 멍우리 협곡 주요 지점에서 조금 아랫쪽이 아닌가 생각된다. 포천 한탄강 멍우리 ..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6.15
포천 화적연(명승93호) 화적연은 영평8경의 제1경이자 포천 한탄강 8경의 제3경이다. 화적연의 위치는 포천시 영북면 자일리 산115번지이나 화적연을 보려면 포천시 관인면 사정리 66번지로 찾아가면 된다. 한탄강 팔(8)경 이름 위치 특징 비고 1경 대교천 현무암협곡 관인면 냉정리 주상절리의 발달 천연기념물436..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3.06.07
인천 답동성당(사적287호) 신부 홍요셉이 세운 벽돌 구조의 성당이다. 1897년에 세웠으며, 1937년에는 성당은 그대로 두고 외곽을 벽돌로 쌓아 올려 지금에 이르고 있다. 두차례에 걸친 내부공사가 있었지만, 비교적 옛 모습대로 보존되어 있다. 성당의 평면은 십자형으로, 붉은 벽돌을 주재료로 하여 중요한 곳에는 ..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2.12.23
용인 보정동 고분군(사적500호) 용인 보정동 삼막골 고분군은 6세기 후반 신라가 한강유역 진출후 9세기까지 조성된 유적으로 충청 이북지역에서 확인된 신라고분군 중 가장 장기간에 걸친 유적으로서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 충청·경기지역 소재 신라고분군 중 충주 누암리고분군, 여주 매룡리고분군에 필적하는 것..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2.10.04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사적299호) 3·1운동때 일제가 독립운동을 가장 잔인한 방법으로 탄압한 학살현장이다. 3월 10일경에 안종린·안정옥 등이 서울에서 독립선언문과 격문을 입수하고, 3월 25일에 뒷산에 올라가 마을 사람들과 함께 봉화를 올리고 만세를 외쳤다. 그후 4월 5일에 발안장날에 주민들에게 나누어주고, 교..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2.09.20
화성 마하리 고분군(사적451호)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마하리에 있는 화성 마하리 백제고분군은 1995년 경부고속철도 경기·충청권 구간에 대한 지표조사 및 시굴조사과정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1996∼1997년 사이에 서울대학교박물관과 호암미술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 결과, 원삼국∼삼국시대에 이르는 많은 고분이 밀..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2.09.20
수원 화성행궁(사적478호) 1 화성행궁은 조선 후기 정치와 군사 및 사회문화의 변화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유산이며, 발굴조사 및 복원정비사업을 통해 조선시대 행궁의 모습을 재현할 수 있게 된 중요한 문화유적으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또한 정조시대 실학정신을 바탕으로 위민과 개혁을 실천하고자한 ..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2.07.27
수원 장안문(사적3호) 장안문[편액은 전 참판 조윤형(曺允亨)이 썼다]은 성의 북문이다. 행궁의 왼쪽 편인데 동쪽으로 780보되는 곳에 사좌(巳坐) 해향(亥向)으로 앉았다. 문의 안과 밖은 홍예로 되어 있다. 안쪽 홍예는 높이 19척 너비 18척 2촌이고, 바깥 쪽 홍예는 높이 17척 5촌, 너비 16척 2 촌, 전체 두께는 40척이.. *경기-인천/명승, 사적 2012.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