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보물1640호) 1703년에 수원(守源)을 비롯한 6명의 화원이 제작한 괘불도로, 오른손을 내리고 서있는 석가모니와 그를 둘러싼 많은 권속들을 질서정연하게 배치한 모습은 당시 상주, 문경 등 경상북도 지역에서 유행하던 괘불도의 형식을 잘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많은 인물들을 배치하면서도 불격(佛格..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12.16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보물51호) 문경시의 깊은 산골짜기에 서 있는 규모가 작고 아담한 3층 석탑이다. 이 절터의 유래나 규모는 알 수 없으며, 발견 당시 3층 몸돌이 근처에 새로 지은 제실(帝室)의 주춧돌로 사용되고 있는 등 탑의 각 부분이 흩어져 있었다. 1960년 9월에 전부 수습하여 복원하였다. 탑은 1단의 기단(基壇)..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12.16
경주 노서동 금팔찌(보물454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촬영한 것이다. 다음 사진은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촬영한 것이다. 경주 노서동 금팔찌(慶州 路西洞 金製釧)는 경주 노서동에 있는 무덤에서 발견된 지름 8㎝의 신라의 금제 팔찌이다. 납작한 단면 바깥쪽에 각각 59개씩의 돌기를 내어 하나하나에 옥을 상감하였다. 이 ..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11.29
안동 하회 충효당(보물414호) 조선 중기 이름난 문신이었던 서애 류성룡(1542∼1607) 선생의 집이다. 류성룡 선생은 여러 벼슬을 두루 거치고 임진왜란 때에는 영의정으로 전쟁의 어려운 상황을 이겨내는데 많은 공헌을 한 분이다. 선생이 쓴『징비록』과『서애집』은 임진왜란사 연구에 빼놓을 수 없는 귀중한 자료로..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11.26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보물128호) 원경왕사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碑)로, 반야사의 옛터에 있었던 것을 1961년에 해인사 경내인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거북받침돌과 비몸, 지붕돌을 갖추었는데, 각 부분이 얇은 것이 특색이다. 비문에 의하면, 원경왕사는 대각국사를 따라 송나라에 갔다가 귀국하여 숙종 9년(1104)에 승통(..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04.05
합천 해인사 길상탑(보물1242호) 해인사 절 입구의 일주문에서 남쪽으로 약 50m 지점에 서 있는 탑으로, 일반적인 절의 건물 배치와는 무관하게 길가에 세워져 있다. 2단의 기단(基壇)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구조로,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석탑 양식을 갖추고 있다. 바닥돌 위에 아래층 기단을 받고, 윗면에 얇은..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04.04
합천 청량사 석등(보물253호) 청량사(淸凉寺) 안에 3층석탑과 나란히 놓여 있는 석등이다. 각 부재가 8각으로 이루어졌으며, 아래에서부터 받침부분과 불을 밝히는 화사석(火舍石), 지붕돌과 머리장식부분으로 구성된다. 8각의 아래받침돌은 측면에 사자상과 향로를, 윗면에는 연꽃무늬를 새기고 각 끝마다 작은 꽃을 ..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03.28
합천 청량사 삼층석탑(보물266호) 청량사 대웅전 앞에 서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이다. 청량사는 매화산(梅花山) 기슭에 있는 사찰로,『삼국사기』에 의하면 최치원(崔致遠)이 거주했던 곳이라고 한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며, 바닥돌 아래에 화강석을 두른 널찍한 구역을 이루고 ..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03.28
합천 청량사 석조여래좌상(보물265호) 불신, 대좌(臺座), 광배(光背)가 모두 갖추어진 완전한 형태의 불상이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작게 표현되어 있고, 풍만한 둥근 얼굴에서는 강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어깨는 넓고 당당하며 가슴이 발달되었고, 두 팔과 다리 등은 양감이 풍부하여 힘이 넘치는 자세이다..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03.28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대방광불화엄경(국보206-14호) 이 목판은 해인사고려각판 중의 하나로, 모두 42판으로 되어있다. 현재 해인사 대장경판전 사이에 있는 동·서 사간판전(寺刊版殿)에 보관되어 있다. 화엄경은 대방광불화엄경을 줄여서 부르는 말로,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이 목판은 당나라.. *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2012.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