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가학루(충청북도 유형문화재22호) 1번 위치는 가학루, 2번 위치는 황간향교이다. 내비에 가학루를 찾아가는데 3번 위치로 안내한다. 황간중학교 앞에서 노란색 화살표방향으로 가면 황간향교 주차장이 있다. 이 길을 권해본다. 멀리 바라본 가학루. 산위에 건물이 보인다. 내비가 황간초등학교 앞으로 안내한다. 본인은 이..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8.25
영동 무첨재(충청북도 유형문화재172호) 내가 가지고 있는 내비가 잘못인지 아래 지도에서 5번 위치로 안내한다. 무첨재는 1번 위치인데... 지도에서 4번위치이다. 직진한다. 5번위치에서 바라본 무첨재. 가는 길이 없어 U턴했다. 건물 앞으로 좌회전. 지도에서 3번위치인데 좌회전한다. 지도에서 2번위치인데 공사중이다. 그래서 ..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8.02
영동 흥학당(충청북도 유형문화재152호) 안주목사 박성량을 기리기 위해 지은 봉유재(http://blog.daum.net/dbsqkqh/4245)바로 였에 있다. 건물도 봉유재와 비슷하다. 근처에 영동 사로당(충청북도 유형문화재151호, http://blog.daum.net/dbsqkqh/4243)이 있다. 문화재청에 흥학당 주소가 '매곡면 노천리 452-1'로 되어 있는데 현장 안내판에는 매곡면 ..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8.01
영동 사로당(충청북도 유형문화재151호) 문화재청에는 주소가 '매곡면 노천리 322'로 되어 있는데 현장 안내판에는 내동리로 되어 있네요.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답변 : 안녕하십니까. 흥학당 주소는 '매곡면 노천리가 맞습니다. 노천리는 "법정 리" 이고 내동리는 "행정 리"입니다. 2013년 문화재 안내판 정비사업을 실시하고 있..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8.01
영동 추풍령 전적 및 장지현 순절비(충청북도 기념물96호) 영동 추풍령 전적 및 장지현 순절비는 추풍령역에서 황간쪽으로 약2km가면 오른쪽에 있다. 임진왜란(1592) 때 의병장이었던 삼괴 장지현(1536∼1593) 장군의 뜻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순절비 및 전적지이다. 장지현은 선조 23년(1590) 신립 장군의 부장이 되고, 이듬해 사헌부 감찰이 되었으나 ..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7.30
청원 안심사 세존사리탑(충청북도 유형문화재27호) 2년전에 갔을 때와 비교해보세요.(http://blog.daum.net/dbsqkqh/2229) 2년전에는 진입로가 안좋았었는데 지금은 포장이 다되었고, 마침 초파일에 갔었기에 연등이 걸려있네요. 행사 때 쓰기 위한 불화가 걸려 있는데 비닐로 되어 있네요. 안심사는 통일신라 혜공왕 11년(775)에 진표율사가 창건하였..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6.28
청원 안심사 비로전(충청북도 유형문화재112호) 약 2년만에 다시 가본 청원 안심사 비로전(http://blog.daum.net/dbsqkqh/2224). 안내판이 많이 훼손되었네요. 그리고 지금은 영산전으로 사용하는데, 또 안내판 내용에도 영산전인데(2년 전에 촬영한 안내판은 그래도 조금은 글씨가 보였는데 다시 본 안내판은 안보이네요) 문화재 이름이 비로전으..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6.28
부여 산직리지석묘(충청남도 기념물40호)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28
부여 세탑리오층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재21호) 탑이 서 있는 터 주변에는 청량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며, 곳곳에 절을 이루는 건물에 쓰였던 돌과 기와조각이 흩어져 있다. 탑의 둘레에 높이 1m 가량의 석축을 쌓아 기단부(基壇部)는 거의 보이지 않아 맨윗돌만 드러나 있고, 그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져 있다. 탑신의 각 층 몸돌..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28
공주 가척리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재98호) 청림사의 절터로 전하는 곳에 이 탑이 서 있다. 절터는 가척초등학교 뒷산에 있는데, 현재는 밭으로 사용되고 있다. 석탑은 전체의 무게를 받치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쌓고,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는데, 원래는 5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규모는 비교적 작은 크기이며, 각 부분이 일..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