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 노강서원(충청남도 유형문화재30호) 윤황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을 위하여 세운 서원이다. 조선 숙종 1년(1675)에 처음 세워진 후, 숙종 8년(1682)에 임금으로부터 ‘노강’이라는 현판과 토지·노비 등을 하사받았다. 후에 윤문거를 비롯하여 윤선거·윤증을 함께 모셨다. 앞쪽에 강당이 있고 뒤쪽에 사..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27
대전 회덕 쌍청당(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2호) 조선 전기의 학자인 쌍청당 송유(1389∼1446) 선생이 지은 별당이다. 건물 이름은 선생의 호인 ‘쌍청(雙淸)’을 따다 붙였는데 청풍과 명월의 맑은 기상을 마음에 담고자 한 것이라고 한다. 조선 세종 14년(1432)에 지은 뒤로도 여러 차례에 걸쳐 고쳐 지었지만 원래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다...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19
대전 고흥류씨정려각및비(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25호) 낮은 야산에 남향으로 세워진 유씨 부인(1371∼1452)의 정려각이다. 유씨 부인은 유준의 딸로서 진사 송극기에게 시집갔으나 22세의 젊은 나이에 남편을 잃고 네살난 아들과 함께 회덕의 시댁에 내려왔다. 시부모를 극진히 모시고 아들을 잘 보살펴 훌륭히 키워 낸 부인은 조선 효종 4년(1653)..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18
대전 송애당(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8호) 조선 인조(재위 1623∼1649) 때 김경여(1597∼1653)가 지은 별당건물로, 고종 26년(1889)에 다시 지었다. 그의 호를 따서 송애당이라 이름지었다. ‘송애(松崖)’는 눈서리를 맞아도 변치않는 소나무의 곧은 절개와 높이 우뚝 선 절벽의 굳센 기상을 간직하겠다는 뜻으로, 김경여의 높은 기개와 ..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18
대전 회덕동춘선생고택(정침,가묘,별묘,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3호) 조선 효종(재위 1649∼1659) 때 병조판서를 지낸 동춘당 송준길 선생이 관직을 물러난 후 거처하던 곳으로 동춘당 뒤쪽에 있다. 동춘당은 조선시대 대표적 별당 건축물로 보물 제209호로 지정되어 있다. 동춘당 왼쪽의 대문을 들어서면 一자 모양의 사랑채와 ㄷ자 모양의 안채가 있고 그 오..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18
논산 갈산리곰솔(충청남도 기념물27호) 사진이 어둡게 나와서 잘 안보이지만 솔잎을 보니 누렇게 말라 가네요. 답변 1. 항상 우리 도 문화재의 보존관리 및 활용 업무에 애정을 가져주심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 귀하께서 국민신문고에 건의하신 [갈산리곰솔](도 기념물 제27호) 관련 민원사항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검토처..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4.10
예산 이응로선생사적지(충청남도 기념물103호) 동양 미술의 우수성을 세계속에 드높인 화가 이응로(1904∼1989)가 작품활동을 하던 곳이다. 수덕여관은 이응로가 1944년 구입하여 한국전쟁 때 피난처로도 사용하였으며, 수덕사 일대의 아름다운 풍경을 화폭으로 옮긴 곳이기도 하다. 또한 1959년 프랑스로 건너가기 전까지 머물면서 작품활동을 했던 곳이다. 수덕여관 앞 바위조각은 1969년 동백림 사건으로 귀국했을 때 고향산천에서 삼라만상의 성함과 쇠함을 추상화하여 표현한 작품이다.(출처 : 문화재청) 사랑에 빠졌던 나혜석 화가는 수원에서 태어났다(http://blog.daum.net/dbsqkqh/2419). 또 수원에는 나혜석거리가 있다.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3.23
예산 수덕사삼층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재103호) 수덕사내의 조인정사 앞에 자리한 고려시대 3층 석탑이다. 형태는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위·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고, 네 귀퉁이는 살짝 들려있다. 꼭대기에는는 3층 ..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3.23
공주 수원사지(충청남도 기념물36호) 월성산 서북쪽 산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절터로, 수원사는 『삼국유사』에 기록된 미륵선화의 내용으로 보아 백제 위덕왕(554∼598)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여겨진다. 절터는 현재 밭으로 변하였고, 탑의 석재 일부가 남아있다. 1967년 공주박물관에서 이곳을 조사할 때 작은 탑, 청동으로 만들..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2.08
괴산 연풍 풍락헌(충청북도 유형문화재162호) 동헌은 옛 관청인 관아에서 업무를 처리하던 중심 건물을 가리킨다. 연풍동헌은 원래 현종 4년(1663) 현감 성희위가 처음 지었다고 한다. 지금 있는 건물은 영조 42년(1766)에 이전 건물이 낡아 당시 현감 이덕부가 남쪽에 새로 지어 풍락헌이라 이름 지은 건물이다. 1920년부터 당시 연풍보통..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2.06